[사설] ‘정책 금융중심지’ 비전 있어야 ‘성장축 부산’ 가능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책 금융기관 등 추가 이전 기회
부산시·정치권 함께 동력 만들어야

제49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가 5월 3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금융위원회가 심의한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은 7일께 의결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제49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가 5월 3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금융위원회가 심의한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은 7일께 의결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정부의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 최종 의결을 앞두고 부산이 ‘정책 금융의 중심지’라는 새로운 비전을 통한 도약에 기대를 걸고 있다는 소식이다. ‘정책 금융중심지’는 기존의 부산시 육성 전략에 없었던 내용이다. 여기에 특별한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다른 데 있지 않다. 부산을 정책 금융중심지로 삼는 방안이 정부 정책 방향으로 결정되면, KDB산업은행 말고도 다른 국책 금융기관의 부산 이전 가능성까지 활짝 열리게 된다. 그동안 2차 공공기관 이전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부산으로서는 수도권에 대응하는 성장축을 가다듬는 데 추진력을 모을 절호의 기회인 것이다.

금융위원회가 3년마다 수립하는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을 위해 지자체를 대상으로 2023~2025년 정책 방향을 심의했던 게 지난달 말이었다. 이때 부산시가 보고한 4대 육성 계획은 ‘글로벌 금융중심지 기능’ ‘정책 금융중심지 기반 구축’ ‘디지털 금융역량 강화’ ‘해양 파생 금융혁신’으로 요약된다. 이 중에서도 ‘정책 금융중심지’ 구축이 주목되는 것은 사실상 금융기관 추가 이전의 근거는 물론 강력한 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같은 금융기관 말고도 금융위나 금융감독원 등 정부 부처까지 그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미 부산시는 산업은행에 이어 금융위의 부산 이전 구상을 3월에 공식화한 바 있다. 이번 기본계획에 대한 금융위의 최종 의결은 7일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2차 공공기관 부산 이전은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여전히 국내외 금융기관의 집적률이 낮아 클러스터 기능조차 힘에 겨운 게 부산의 실정이다. 아시아 허브금융 도시로의 도약은 언감생심인 상황에서 2차 공공기관 이전이 절박하건만, 현실은 답답하기만 하다. 산업은행 이전의 경우만 보더라도 법안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아직도 안갯속이다. 무엇보다 정부가 지난해 12월 2차 지방 이전을 공식화하고도 지금까지 작업을 미루고 있는 게 문제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역 간 갈등 우려 때문에 2차 이전 로드맵을 7월까지 발표하지 않기로 방침을 세웠다는 전언도 있었다. 안타까운 노릇이 아닐 수 없다.

2차 공공기관 이전의 당위성을 재삼재사 이야기하는 것이 구걸일 수 없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수도권에 대응하는 성장축으로서 부산의 국제 금융경쟁력을 높이는 길임은 물론이다. 부산이 금융중심지로 바로 서기 위해서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수협중앙회 같은 중앙 금융기관의 부산 이전은 필수적이다. 정부는 올 하반기 늦게나마 2차 공공기관 이전 기본계획을 짜게 된다. 이때 정책 금융중심지라는 부산의 비전을 공공기관 이전의 추동력으로 삼아 우리의 요구를 제대로 그리고 신속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정치 기반을 떠나 지역 정치권과 부산시가 힘을 한데 모으는 대승적 분발이 긴요한 때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