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또다시 낙하산 인사… 요원해진 금융중심지 부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조직 쇄신 급한데
공공기관 퇴직자 일자리 챙기기로 전락

부산 남구 문현동 문현금융단지와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 남구 문현동 문현금융단지와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수장에 또다시 공공기관 출신 낙하산 인사 임명이 진행되고 있다. 진흥원이 출범 3년을 맞고 있지만 존재감이 미미해 대대적 조직개편과 쇄신이 필요하다는 지역사회의 목소리에는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진흥원은 원장 임기 만료에 따라 신임 원장 공모 절차를 진행 중이다. 8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서류 심사와 면접을 거쳐 이사회에서 최종 후보 2명을 압축했는데 역시나 공공기관 퇴직자들로 알려졌다. 한국은행 출신으로 현재 지자체 출자·출연기관 원장과 행정고시 출신으로 금융위원회 근무 이력을 가진 인사다. 한국은행 퇴직자 출신의 김종화 초대 원장 임명으로 진흥원이 제 역할을 못 했다는 지적이 있었음에도 같은 행태를 반복하는 것이다.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은 당초 국제금융도시 발전과 금융산업 육성 전략 수립을 취지로 설립됐지만 제대로 된 역할을 못 하고 있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평가다. 이 때문에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시민들이 공감할 만한 역할은 전혀 못 하면서 혈세만 낭비해 대대적 조직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런 와중에 진흥원은 신임 원장 공모를 강행했는데 그 과정 어디에서도 쇄신 노력은 보이지 않는다. 진흥원 스스로 쇄신을 위한 비전을 내놓지 못 하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부산 금융중심지 육성 전략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사가 선임돼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심사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왔지만 결국 답은 공공기관 퇴직자 밀어붙이기다.

부산 금융중심지 위상 하락 등을 감안하면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의 역할에 대한 요구는 더 높아졌다. 전문성과 혁신의 비전을 갖춘 원장 선임이 필요한 이유다. 특히 정부가 21일 발표한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에 따르면 부산은 금융 인프라 및 금융 생태계 강화, 해양특화금융 활성화, 디지털금융 역량 강화 등이 과제로 제시됐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거론되는 원장 후보자들이 이에 대한 전략을 제대로 만들어 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해양금융과 디지털금융에 대한 전문성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특히나 급변하는 금융시장에 대한 발 빠른 대응력을 발휘하기는 더 어려워 보인다.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은 기관총회를 열어 원장을 최종 선임한다는 계획이다. 총회에는 부산시와 부산 이전 금융공기업, BNK부산은행 등 분담금 납부 기관들이 참석한다. 현재대로라면 두 명의 후보 중 한 명이 원장에 선임될 전망이다. 그러나 지역에서는 지금이라도 재공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시민사회는 물론이고 각계에서 해체 수준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상황에서 퇴직자 일자리 챙겨 주기식의 원장 임명이 가당키나 하냐는 지적이다. 시가 국제금융중심지 육성에 대한 의지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한다. 기관총회에서 진흥원 쇄신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은 이상 지역사회의 거센 반발이 불가피해 보인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