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국토장관 "주택가격 장기 하향안정 더 지속될 필요 있어"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집값 대세상승 전환은 시기상조…DSR 무분별한 완화 검토 안해"
"역전세 문제, 금융·주택시장 시스템 전체에 타격 주지 않을 것"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3일 주택가격 하향 안정세가 당분간 지속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올해 초부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금융경색 방지와 시장 경착륙 방지를 위해 금융 부문까지 폭넓게 규제를 완화했지만, 이런 정부 정책이 당장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명확히 한 것이다.

원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규제 완화 결과 경착륙 방지에는 성공했지만, (집값) 장기 하향 안정이 좀 더 지속해 갈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는 거래 성사나 가격 체결이 지나치게 매도자 우위 시장으로 돌아가는 것은 경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집값이 지난 5년간 너무 올랐다"며 "얼마까지 떨어져야 한다고 보지는 않지만, 지금 대세 상승으로 가기에는 시기상조고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완화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원 장관은 "금융을 하나의 기회나 혜택으로 보면 국민의 공정, 균등한 기회 문제가 있다"며 "DSR을 무분별하게 푸는 건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에 대해선 "절세를 위해 거래가 지나치게 단절되거나 경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다주택자들에게 '이제는 투자할 때'라든가 매수세를 더 키우기 위해 정부가 급해졌다는 신호가 가지 않도록 유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반기 주택시장 뇌관 중 하나로 지목되는 역전세 문제에 대해선 큰 위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면밀히 관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금융·주택시장 시스템 전체의 타격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란 견해를 내놨다.

원 장관은 "역전세 문제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굉장히 큰 위기로 보일 것이고, 개별 계약 하나씩 보면 이미 어느 정도 고가 주택은 대출받아서 갚아준 사람이 많아 시각차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며 "전세금을 못 돌려주면 급매물로 처분해서라도 돌려주는 차원으로 안분된다고 하면 금융시장, 주택시장 시스템 전체에 타격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그렇게 되도록 방치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역전세는 매매가가 하락하면 언제든 생길 수 있는 문제로, 매매가가 떨어질 때마다 대출을 풀어서 국가가 지원해 줄 것이라는 신호를 남기면 안 된다"며 "일부 대출 숨통을 터주더라도 한꺼번에 문제가 터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지 전체를 구제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정부는 임대차 시장 안정화를 위해 전세제도에 임대인의 상환능력과 자기책임 부담을 반영하고, 금융기관의 대출 심사를 까다롭게 하는 등 안전장치 방안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논의할 방침이다.

원 장관은 지난주 단행된 김오진 국토부 1차관 인사에 대해선 시간을 두고 지켜봐달라고 당부했다. 김 차관은 대통령실 관리비서관 출신으로, 국토부 관련 경력이 없어 전문성 논란이 일각에서 제기됐다.

원 장관은 "김오진 1차관은 종합적인 기획, 조정, 업무추진력이 대통령실 모든 비서관 중에서도 '특갑'에 속하기 때문에 국토부 실무경험이 부족한 것은 실·국장, 과장, 직원들과 격의 없는 소통을 통해 채우고, 빨리 업무를 파악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이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변경된 것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서도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종점으로 결정된 강상면에서 500m 떨어진 자리에 김건희 여사 일가 토지가 있다며 특혜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원 장관은 "변경 결정을 한 적 없고, 보고받은 뒤에는 의혹을 사면서까지 사업을 밀어붙일 이유가 없어 전면 재검토하도록 했다"며 "변경 절차상 문제가 있다는 의혹은 '뇌피셜'이며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