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앞세워 ‘에너지 특구’ 앞서가는 울산, 또 뒤처지는 부산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저렴한 전기 공급으로 기업 유치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 적극
추진단 구성·정치권 요구 나서
지역구 출신 여당 대표도 지원사격
구체적 활동 없는 부산시와 대조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5일 오전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울산시와의 예산정책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5일 오전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울산시와의 예산정책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울산시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경쟁에서 앞서나가고 있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저렴한 전기’ 공급을 통한 기업 유치가 가능한 지역이다. 국가 첨단산업단지 후보지 탈락의 고배를 마셨던 울산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서는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울산과 마찬가지로 국가 첨단산업단지 후보지에 신청하지 않아 탈락 문제가 불거진 부산은 ‘에너지 특구’ 유치 전략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울산시는 5일 시청 2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민의힘과의 예산정책협의회에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는 “지역경제에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의 울산 지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은 분산에너지특별법에 따라 지정하는 ‘에너지 특구’다. 분산에너지특별법은 에너지의 생산지와 소비지를 일치시키기 위해 마련된 법으로 발전사업자 인근 주민이나 사업체에 더 저렴한 전기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담았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서는 발전사업자가 한국전력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전력소비자에게 전기를 판매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선 지역의 발전사업자나 한전 가운데 더 저렴한 전기를 골라서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저렴한 전기를 앞세워 발전소 주변 지역에 기업을 유치하겠다는 분산에너지특별법의 핵심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인 셈이다.

이 때문에 울산은 분산에너지특별법 제정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나섰다. 시 관계자가 직접 국회에서 여야 의원들을 설득해 법 통과에 힘을 실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관계자는 “울산시가 특별법 제정에 적극 나섰고 특화지역 지정에도 매우 적극적이다”고 밝혔다.

분산에너지특별법은 내년 6월 시행될 예정이지만 울산시는 특화지역 지정을 위해 이미 ‘추진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또 현재 준비 중인 시행령에 울산 지역의 요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정치권의 협력도 요청했다. 이른 대비로 다른 지역과의 경쟁에서 앞서나가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제주도도 지정을 위한 별도의 조직을 구성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섰다. 제주는 지역에 재생에너지 생산시설이 많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울산은 국가 첨단산업단지 후보지 탈락의 아픔을 다시 겪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울산이 지역구인 김기현 대표도 이날 “지난번에 아쉽게 선정되지 못했는데 철저한 계획을 세워 해결해야 한다는 의지를 시에 말씀드렸다”고 밝혔다. 그는 “향후 울산시는 에너지 수요기업들을 찾아 공장을 지역에 유치하는 등 매우 공세적인 행보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런 움직임은 부산시와 대비된다. 부산에서는 지역 국회의원(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이 분산에너지특별법을 대표발의해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구체적인 특화지역 지정 움직임은 드러나지 않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아직 시행령 등이 제정되지 않아 산업통상자원부를 상대로 자료 수집 등을 하고 있는 단계”라면서 “내부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도 국가 첨단산업단지 후보지를 신청하지 않아 논란이 된 바 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국회에 후보지 추가 지정이나 공모 계획이 없다고 밝혀 부산시의 추가 지정 요청을 공식적으로 거부했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시가 ‘에너지 특구’ 지정에서도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면서 기업 유치 경쟁에서 뒤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김 대표는 “울산이 자동차와 조선 산업에 IT를 접목시키고, 석유화학 산업이 신소재로 더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길을 찾는다면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최적의 여건을 갖춘 산업 도시가 될 것이고 가장 살기 좋은 도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