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저출생 1번지’ 부산, 육아휴직 확대로 오명 벗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남성 육아휴직 비율 전국 최하위권
지자체·정부 함께 지원 방안 마련을

부산이 '저출생 1번지'라는 오명을 벗으려면 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힘을 합쳐 남성 육아휴직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부산일보DB 부산이 '저출생 1번지'라는 오명을 벗으려면 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힘을 합쳐 남성 육아휴직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부산일보DB

지난해 합계출생률 0.72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치를 기록한 부산은 올해도 ‘저출생 1번지’의 오명을 벗지 못하는 처지다. 부산은 올해 4월 출생아 수가 1050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고 5월 출생아 수도 엇비슷한 수준인 1099명에 머물렀다. 올해 5월까지 출생아 수를 다 합쳐도 5761명에 불과한데 이는 지난해보다 8.6%나 급감한 수치다. 부산의 저출생 현상을 뒷받침하는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용노동부 자료를 보니, 해마다 하위권을 맴도는 부산의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지난해 25%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낮았다. 남성 육아휴직 문제는 부산의 저출생 현상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결코 쉽게 보아 넘길 문제가 아니다.

한국은 2020년 정보가 공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9개 국가 중 육아휴직 사용 일수가 가장 적은 나라다. 그중에서도 남성의 육아휴직은 더 말할 것도 없는데 2021년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20%대를 기록했다. 스웨덴·포르투갈·노르웨이 등의 40%대와 비교하면 극히 저조한 수준이다. 이런 한국에서도 유독 남성 육아휴직 사용이 부진한 곳이 부산이다. 전국의 남성 육아휴직 비율이 2019년 21%에서 2022년 29%로 오르는 동안 부산은 25%에 그쳤다. 울산의 38%와 비교하면 엄청난 격차다. 이런 현실을 개선하지 않고서는 부산의 출생률 제고는 무망하다고 봐야 한다.

부산의 남성 육아휴직 비율이 낮은 것은 열악한 산업 구조에 기인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다. 소규모 제조업, 도소매업이 많아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 수준이 저조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체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 휴직 얘기를 꺼내기조차 난감하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여기에 겹친다. 소기업과 저임금 노동자가 많은 부산의 지역적 특성도 육아휴직을 꺼리게 하는 요소다. 안 그래도 빠듯한 생활비에 고금리 상황까지 겹친 터라 휴직에 따른 수입 감소를 견뎌 내기 힘든 것이다. 특히 맞벌이가 아닌 외벌이의 경우 또 다른 지원이 없다면 육아휴직은 언감생심인 게 현실이다.

부산시가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는 수밖에 없다. 중소사업체에 대한 장려금 지원이 지난해 발표 이후로 아직 제자리걸음인데 속히 시행의 길을 터야 할 것이다. 기초지자체 차원에서는 현재 부산 16개 구·군 중 수영구만 장려금을 지원하고 있는 바, 다른 지역으로 더 확대돼야 한다. 행정기관 혼자서 애쓴다고 될 일은 아니다. 지자체와 정부, 기업이 함께 힘을 합쳐 움직이는 게 중요하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부산형 가족친화 인증기업 제도’는 그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물론 지역 기업 대표들의 인식도 변해야 한다. 우리 사회 각계의 노력이 없다면 ‘저출생 1번지’ 오명 탈출은 요원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