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난 잔치 ‘명낙회동’, 가시적 성과는 만남뿐?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재명·이낙연 만남서 ‘총선 승리’ 다짐
당내 분열 극복 해법 제각각… 갈등 표출
친명계 당원들, 게시판서 이낙연 맹비난
문재인 출당 요구 등 계파 분란 더 심해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앞줄 오른쪽) 대표와 이낙연(앞줄 왼쪽) 전 대표가 지난 28일 서울에서 만찬 회동을 하고 있다. 회동에는 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인 김영진 의원과 이 전 대표 측근인 윤영찬 의원이 배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제공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앞줄 오른쪽) 대표와 이낙연(앞줄 왼쪽) 전 대표가 지난 28일 서울에서 만찬 회동을 하고 있다. 회동에는 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인 김영진 의원과 이 전 대표 측근인 윤영찬 의원이 배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제공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이낙연 전 대표의 지난 28일 ‘명낙회동’ 이후 당내 파열음이 더 커졌다. 두 사람은 이번 회동에서 ‘단합’에 대해 다른 시각을 드러냈고 양측 지지자의 감정적 갈등은 깊어졌다. 민주당 당원 게시판도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의 ‘비난 글’로 도배됐다. 당 지지율이 하락하는 가운데 분열이 심화되면서 위기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28일 명낙회동 이후 민주당 당원 커뮤니티인 ‘블루웨이브’에는 이 전 대표를 비난하는 글이 이어졌다. 게시판 ‘인기글’ 순위에는 ‘이낙연은 다시 한 번 민주당과 당원을 배신했다’ ‘이낙연님은 왜 여기서 고생하시나, 국민의 힘으로 꺼져’ ‘이낙연부터 양소영(민주당 대학생위원장)까지 그들은 한패’ 등의 글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 글은 이 전 대표를 비판하는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이 쓴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은 특히 이 전 대표가 회동에서 “도덕성과 민주주의 회복”을 강조한 데 대해 거센 비판을 쏟아냈다. 이 전 대표를 ‘배신자’로 규정하고 비판해 온 강성 지지층이 단합을 바라보는 시각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단합에 대한 시각차는 이 대표와 이 전 대표 사이에서도 드러났다. 이 전 대표는 회동에서 “당내 분열의 언어를 즉시 중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 강성 지지층에서 계속되는 ‘수박(배신자) 색출’이나 이 전 대표에 대한 비판 공세를 막아야 한다는 지적으로 풀이된다. 반면 이 대표는 “당이 분열되지 않도록 잘 이끌고 가야 한다”면서도 ‘당내 민주주의 약화’를 막을 방법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 대표는 그동안 ‘단합’을 강조했지만 강성 지지층이 비명(비이재명)계를 향해 쏟아내는 ‘분열의 언어’는 줄어들지 않았다.

강성 친명계의 비명계에 대한 비판 수위가 높아지면서 민주당의 ‘당원 청원’ 게시판인 ‘국민응답센터’에는 “문재인을 출당시켜 달라”는 청원까지 등장했다. 청원인은 “이재명을 지키고 싶다”면서 “문재인을 제명시키고 수박을 척결하고 윤석열을 탄핵하고 싶다”고 주장했다. 국민응답센터에는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 체제로 총선을 치른다는 결의문을 채택하라”는 청원도 등장했다.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이 문 전 대통령까지 ‘배척’하는 모습을 보이는 상황에서 명낙회동이 오히려 지지층의 ‘감정적 동요’만 키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친명계 일각에서 ‘총선 물갈이’ 등을 주장하고 나서 계파 갈등이 더 깊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친명 성향 원외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가 지난 19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총선에서 이기려면 현역 중 50%는 물갈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명계에선 ‘현역 50% 물갈이’가 비명계 퇴출을 위한 명분쌓기가 될 수 있다고 해석한다. 이 때문에 ‘김은경 혁신위원회’의 공천룰 검토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민주당 내 위기가 커지면서 당 지지율은 갈수록 악화되는 모습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25∼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당 지지도는 국민의힘 35%, 더불어민주당 29%, 정의당 4%로 조사됐다. 민주당 지지도는 현 정부 출범 이후 최저 수준에 가깝다고 한국갤럽은 전했다. 민주당은 지난 3월 첫째 주 조사에서 29%, 작년 6월 말 조사에서 28%를 기록한 바 있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이고 100%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4.1%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