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평화특구에 수천 명 ‘억울한 죽음’ 기억할 공간 만들자[8000 원혼 우키시마호 비극 ④]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8000 원혼 우키시마호 비극 ④] 다시 쓰는 그날의 역사

세계 최대 해양 참사에도 불구
국내 추모공간 하나 없는 현실
8일 부산 평화도시 정책토론회서
추모평화공원 건립 필요성 제기
재단장 유엔기념공원 일대 최적
아픈 역사 알리는 중심축 될 것

우키시마호희생자추모협회와 <부산일보> 공동 주관으로 지난 8일 오후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부산 평화도시 정책토론회’에서 열띤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우키시마호 유골 봉환과 부산추모평화공원 건립 방안 등을 찾기 위해 각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이재찬 기자 chan@ 우키시마호희생자추모협회와 <부산일보> 공동 주관으로 지난 8일 오후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부산 평화도시 정책토론회’에서 열띤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우키시마호 유골 봉환과 부산추모평화공원 건립 방안 등을 찾기 위해 각계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이재찬 기자 chan@

1945년 8월 24일. 해방의 기쁨도 잠시, 강제동원 한국인을 태운 귀국선 ‘우키시마호’가 일본 마이즈루항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4730t급 거함은 돌연 뱃머리를 돌려 그곳으로 향했고, 의문의 폭발과 함께 사라졌다.

그토록 그리던 고국 땅을 밟지 못한 채 수천 명의 한국인이 수장됐다. 일본이 발표한 한국인 공식 사망자는 524명. <부산일보>와 <서일본신문>은 우키시마호폭침진상규명회 및 옛 오미나토 해군시설부의 우키시마호 희생자 명단을 각각 단독 입수해 번역했다. 1950년 일본 외무성 기록문서인 ‘우키시마호 인양요청서’에 따르면 배 탑승 인원은 8000여 명이었다.

2023년 8월 8일. 78년이 흘렀지만 그들은 죽어서도 고향을 찾지 못한다. 배는 고철로 팔렸고, 대부분의 유해는 주변에 집단 매장되거나 바닷속에 잠겼다. 50년 전 각계의 노력 끝에 국내로 반환된 유골조차 뿔뿔이 흩어졌다.

<부산일보>는 자매지 <서일본신문>과 한일 지역언론사 최초의 공동기획으로 일본에 남은 유골을 되찾고 ‘잊힐 위기’에 놓인 우키시마호의 마지막 기록을 남긴다. 이미 봉환된 유골도 한데 모아 ‘그날’을 기억할 역사적 공간이 마련되길 바란다. 현 정부의 미래 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풀어야 할 실타래다. 목적지 부산항을 향한 우키시마호의 마지막 항해다.

“제 나이 여든한 살입니다. 죽어서 아버지를 뵈면 적어도 ‘유골은 고국의 금수강산에 모셔뒀습니다’라고 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유족 한영용 씨)


1945년 8월 24일 일어난 우키시마호 폭침 사건은 한국인 강제징용자와 가족 수천 명이 희생된 세계 최대 해양 참사이지만, 고국에서는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한다. 국내에 그럴 듯한 추모 공간 하나 없는 것이 역사의 현주소다. 부산의 한 시민단체 간부는 “희생자는 수없이 많지만 전국에 분포되다 보니, 어느 지자체도 나서서 역사를 기록하지 않는 비극이 이어져 왔다”고 진단했다.

 

■부산 역사 새 화두 ‘세계평화문화도시’

우키시마호는 국내 도시 중 부산과 가장 닿아 있다. 해방 귀국선 우키시마호의 목적지이자 해방된 고국에 첫발을 내딛는 ‘희망의 땅’ 그 자체였다. 우키시마호 침몰 이후 생존자들이 알음알음으로 구한 배를 타고 돌아온 곳이기도 하다. 현재 부산 남구 일제강제동원역사관에는 우키시마호 사건의 유일한 추모비와 역사물 일부가 보존돼 있다.

부산 우키시마호희생자추모협회(이하 추모협회)는 남구 유엔평화공원 일대에 우키시마호를 기억할 추모평화공원을 건립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간 우키시마호를 포함한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추모 공원은 미군이 빠져나간 서울 용산 부지에 추진됐다. 그러나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자 우키시마호 사건이라도 상징성 있는 부산에 별도 추모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추모협회 김영주 회장은 추모협회와 <부산일보> 공동 주관으로 지난 8일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부산 평화도시 정책토론회’에서 “부산 추모평화공원은 한일 민간 협력의 상징으로 역사와 평화 모두를 대표할 것”이라며 “현재 부산시와 남구가 추진 중인 유엔평화문화특구의 핵심 역사 공간 중 하나로서 자격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우키시마호 유해 봉환과 부산 추모평화공원 건립을 주제로 진행됐다. 부산연구원 권태상 연구위원은 발제문을 통해 유엔평화문화특구의 현재 상황을 공유했다. 권 연구위원은 “유엔공원이 새롭게 바뀌고 있는 만큼 우키시마호 추모 공간 건립도 잘 준비해 시, 남구청 등과 협의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2028년까지 유엔기념공원을 세계평화문화공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유엔평화기념관, 유엔조각공원 등 유엔묘역 관련 시설뿐 아니라 주변 일제강제동원역사관과 부산박물관도 아우른다.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역을 중심으로 부산의 역사·문화·추모 시설을 집대성하는 셈이다.

추모협회는 이곳에 우키시마호 추모 공간이 마련되면 일제강제동원역사관과 함께 부산의 아픈 역사를 알리는 중심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공항, 항만을 통한 내외국인 관광객의 접근성도 좋아 잊힐 위기에 처한 우키시마호를 후대에 알리는 역할도 톡톡히 할 것으로 본다.

추모평화공원과 함께 기존 추모비와 다른 형태의 우키시마호희생자추모평화비 건립도 추진한다. 지난 8일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우키시마호폭침진상규명회 전재진 대표는 “추모평화공원과 별도로 침몰지인 일본 마이즈루항을 마주 보는 곳이자 우키시마호가 돌아오지 못한 부산항에 추모비가 세워지면 역사적으로 의미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 남구 유엔평화기념관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전경. 정종회 기자 jjh@ 부산 남구 유엔평화기념관과 일제강제동원역사관 전경. 정종회 기자 jjh@

■ 마지막 힘 짜낸다…민간 동력 재점화

우키시마호 추모 공간 조성과 유해 봉환을 위한 민간의 노력은 이미 본격화됐다.

서울에서는 2019년 영화 ‘우키시마호’를 제작한 김진홍 감독이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지난달 24일 행정안전부로부터 (사)우키시마호희생자추모회 설립 허가를 받았다. 희생자 유해 봉환 및 추모비 건립, 우키시마호 사건 연구 활동, 우키시마호 희생자·유족 권익 향상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 구체적인 희생자 추모비 건립 장소는 유족과 의논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감독은 “우키시마호 사건을 다시 알리기 위해 우키시마호 사건을 재해석한 극영화를 2025년 개봉을 목표로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추모협회는 유해 조사~유해 봉환~추모 공간 건립(유해 안치)을 목표로 다시 움직인다. 이번 달 안으로 ‘우키시마호희생자 민간 유해조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유해 발굴을 위한 기초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 4월 행정안전부에 유해 발굴을 위한 민관 조사단 구성을 요청했지만, 아직 명확한 답변을 받지 못했다. 이에 먼저 현지 조사를 위한 세부 계획 수립에 나섰다.

12년 전 침몰지 조사에 나섰던 잠수부들로부터 당시 수중 상황을 확인하고, 현지 매장지와 관련한 역사적 사료를 취합한다. 추모협회 측은 “민간에서 자체 재정을 들여 노력하는 만큼 정부도 유해 봉환을 위해 함께 나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끝-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