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덴마크, 우크라에 F-16 지원… 교착 상태 바뀌나?

김형 기자 mo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F-16 지원 확약한 첫 사례
올 연말이나 내년 초 전달 예정
나토 다른 회원국도 동참 가능성
젤렌스키 “하늘에서 성과 기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왼쪽)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가 20일(현지 시간) 덴마크 보옌스의 스크리드스트럽 공군기지에서 F-16 전투기에 올라 대화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왼쪽)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가 20일(현지 시간) 덴마크 보옌스의 스크리드스트럽 공군기지에서 F-16 전투기에 올라 대화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네덜란드와 덴마크가 러시아의 침공으로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F-16 전투기를 지원하기로 했다. 앞서 미국이 F-16 전투기의 우크라이나 이전을 공식 승인하는 등 나토의 다른 회원국들도 전투기 지원에 동참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네덜란드와 덴마크 정부는 20일(현지 시간) 공동성명을 내고 “우리는 F-16 전투기 이전을 위한 조건이 충족했을 때 미국과 다른 파트너국들과 긴밀한 협력 하에 우크라이나에 전투기를 이전하는 것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전투기 이전을 위한 조건에는 F-16을 조종할 우크라이나 인력의 성공적 선발과 훈련 등이 포함된다고 양국은 전했다.

이날 공동성명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네덜란드와 덴마크 방문에 맞춰 발표된 것으로 우크라이나에 F-16 전투기를 지원하겠다고 확약한 첫 사례라고 영국 로이터통신은 짚었다. 젤렌스키 대통령도 이날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매우 역사적이며 강력하고, 우리의 사기를 북돋아 주는 결정”이라고 사의를 표명했다. 공동성명에 구체적인 전달 시기는 언급되지 않았다.

이달 우크라이나군을 상대로 시작되는 F-16 운용 훈련에 수개월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전달 시기는 이르면 올 연말이나 내년 초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구체적인 지원 물량도 아직 논의 중이다. 뤼터 총리는 이날 네덜란드 에인트호번 공군기지에서 열린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지원할 수 있는 물량이 최대 42대가 있으나 이를 전부 전달할지 언급하기엔 “아직 시기가 너무 이르다”며 즉답을 피했다.

덴마크의 경우 총 19대를 순차 전달한다는 구상이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19대 중 6대는 연말을 전후해 우선 인도될 예정이며 내년과 2025년에 각각 8대, 5대를 순차적으로 전달하겠다고 설명했다고 독일 dpa통신은 전했다.

네덜란드와 덴마크는 지난 5월 우크라이나군에 대한 F-16 조종과 운용 훈련 실시 결정을 주도한 국가들이다.

네덜란드와 덴마크를 필두로 다른 나토 회원국들이 전투기 지원에 동참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 17일 로이터통신은 미국이 덴마크와 네덜란드가 미국산 F-16 전투기 이전 승인을 요청할 경우 이를 신속히 승인하겠다는 공식 확답을 각국에 전달했다고 미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주말 동안 숨가쁜 ‘전투기 확보 외교전’에 나선 것도 미국의 결정에 맞춰 조율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전날인 지난 19일 스웨덴을 방문한 자리에서는 방공 전력 강화를 위해 스웨덴산 4.5세대 전투기인 ‘그리펜’ 지원 가능성을 논의했다고 공개했다. 당시 젤렌스키 대통령은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와 공동으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제공권을 확보하지 못했고 우리에겐 현대적인 전투기가 없다”면서 “스웨덴의 그리펜은 여러분의 자존심이며 나는 크리스테르손 총리가 그 자존심을 우크라이나와 공유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수 주 내에 전투기 지원에 관한 논의를 개시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가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는 내일, 그리고 모레 몇몇 다른 국가들과도 협상할 것”이라며 “러시아가 제공권을 갖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파트너 국가들과 모든 일을 다하고 하늘에서 적절한 결과를 성취할 것이라고 자신한다”고 강조했다. 스웨덴 정부는 지난 6월 사브가 제작하는 그리펜 전투기의 시험에 우크라이나 조종사들이 참여할 기회를 주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형 기자 mo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