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 철도 지하화 특별법 올해 안에 발의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공식화
“법 통과 땐 수도권 외 부산 유력”
관련 용역 조만간 마무리 수순
부산진~부산역, 화명~가야 등
정부 시범사업 공모 포함될 듯

부산 동구 도심을 가로지르는 경부선 철길 모습. 정종회 기자 jjh@ 부산 동구 도심을 가로지르는 경부선 철길 모습. 정종회 기자 jjh@

국토교통부가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 추진을 위한 특별법을 올해 발의하기로 했다. 이로써 부산의 핵심 현안이자 숙원 사업인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23일 오전 부산시청에서 열린 ‘국토부-부산시 부산 도심융합특구 성공 조성 및 국토교통 현안회의’에 참석해 “연내 ‘도시 지상철도 지하화(가칭)’ 특별법을 발의하겠다.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시범사업 대상지로 수도권 외에 부산이 가장 유력하다”고 밝혔다. 부산시의 정책 건의에 대해 주무부처인 국토부 장관이 올해 안으로 특별법을 발의해 철도 지하화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말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같은 국토부 장관의 특별법 발의 공식화로 부산의 오랜 현안이었던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 향후 추진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국토부는 ‘도시 지상철도 지하화’ 추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초부터 자체 용역을 진행해 왔으며,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원 장관의 발언처럼 올해 안에 특별법을 발의하는 동시에 종합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초에는 전국에서 관련 시범사업을 공모할 예정이다.

시는 국토부의 시범사업에 응모하기 위해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 실행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 내년 4월에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경부선 철도 지하화 사업은 부산 시내에 포함된 경부선 화명~구포·덕천통합역(신설)~가야차량기지 10.7km 구간, 부산진역~부산역 2.3km 구간을 지하화하고 대신 지상구간의 철도 유휴부지와 역세권 일대를 개발하는 것이다. 총사업비 1조 5500억 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시는 화명~구포·덕천~가야 구간에서는 노선을 변경해 지하에 새로 철로를 만드는 현대화 방식을 계획 중이다. 부산진역~부산역 구간에서는 같은 노선을 지하에 새로 만들면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현재의 지상철도 상부를 덮어 인공지반을 만들어 상부를 활용하는 방식을 구상 중이다. 프랑스 파리 13구에 위치한 리브고슈 역세권 재개발 방식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철도 부지 상부를 활용할 수 있는 리브고슈 역세권 재개발 방식을 적용하면 철도와 도로가 갈라놓은 중·동구 지역과 북항 재개발지역을 연결하는 데에도 용이하다.

한편, 이날 열린 국토부-부산시 현안회의에서는 해운대구 센텀2지구에 조성되는 도심융합특구와 관련한 협의가 심도 있게 진행됐다.

도심융합특구는 기존 인프라와 접근이 용이한 도심에 산업, 주거, 문화를 넣고 주변지역을 빠른 속도로 연결하는 새로운 개발 모델이다. 젊은 인재들이 일하기 좋은 정주여건을 만들어 첨단 신산업을 유치해 경제성장을 활성화하는 사업이다. 다음 달 국회 본회의 통과 후 본격 추진되는데, 전국 5개 선도사업지 중 센텀2지구의 규모가 가장 크다. 시는 센텀2지구 도심융합특구 진입도로와 반송터널 건설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며 협조를 요청했다.

시는 이 밖에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을 위한 보상 업무 신속 추진, 가덕신공항 접근 교통망인 부산신항~김해 고속도로 시점부 연장 및 연결로(JCT) 설치, 부산 광역급행철도(BuTX)의 동남권 확충, 부산~경남 양산시~울산 광역철도 건설,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및 하단~녹산선 건설 등의 사업에 국토부의 적극적인 협조를 건의했다.



김경희 기자 mis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