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김영섭호’ 출범…“기업가치 제고에 최선”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외부 전문 경영인 대표체제, KT 혁신 기대감 ‘솔솔’

KT 김영섭 대표. 연합뉴스 KT 김영섭 대표. 연합뉴스

지난 9개월여 동안 차기 대표이사 선정 과정에서 우여곡절을 겪은 KT가 김영섭 대표 체제로 새롭게 출발한다. KT는 30일 서울 서초구 우면동 KT 연구개발센터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김영섭 전 LG CNS 사장을 새로운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경영 공백과 각종 논란에 시달려온 KT가 김 대표 체제에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 업계 안팎의 시선이 쏠린다. 특히 김 대표는 KT 내부의 '고인 물'이나 정관계 출신 '낙하산'이 아닌 외부 전문경영인이란 점에서 더욱 관심이 쏠린다.

KT 경영진 인선 파문의 발단이 여권을 중심으로 제기된 이른바 이권 카르텔 비판이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KT맨이 아니면서도 관련 업계 경험이 풍부한 김 대표가 소방수로 적임자라는 평가도 있다. KT의 관행과 구습, 비효율, 내부 카르텔 등을 하나둘 깨나갈 것이란 기대인 셈이다

이날 김 대표 선임안은 전체 의결 참여 주식의 60% 이상 찬성표를 받아 가결됐다. 김 대표는 선임 직후 “KT그룹이 보유한 대한민국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인프라와 기술력, 사업역량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기업가치 제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1959년생인 김 대표는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84년 LG 전신인 럭키금성상사에 입사한 뒤 LG 계열사에만 40년 가까이 몸담아왔다. 업계 재무통으로 불린다. LG CNS 사장 재직 당시 조직 구조 효율화와 체질 개선 작업에서 성과를 냈다는 평가가 많다.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 LG CNS 대표를 지냈고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전문성을 키웠다.

김 대표는 취임 후 어수선한 조직 분위기를 다잡으며 인적 쇄신을 단행하고, 성장 전략을 제시하는 등 경영 안정화에 몰두할 것으로 점쳐진다. 조직 안정화와 기업 구조 개혁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았다.

다만 어지러운 조직 분위기를 먼저 추스르고 연말부터 본격적인 쇄신 작업이나 구조조정에 착수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김 대표는 다음 달 7∼8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리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모바일 360 APAC 기조연설을 통해 KT 대표로서 공식 석상에 데뷔하고 경영 및 성장 비전과 전략을 내놓을 전망이다.

이날 사내이사로는 서창석 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이 선임됐다. 1967년생인 서 부사장은 2021년 전국 유·무선 인터넷이 마비된 네트워크 장애 당시 사고 수습을 맡은 인물로 사내 대표적인 '기술통'으로 꼽힌다. 김 대표와 서 부사장의 임기는 2026년 3월 정기 주주총회일까지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