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달식의 일필일침] 컨테이너의 변신, 부산의 미래다

정달식 논설위원 dos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때 부산의 상징이었던 컨테이너
북항 재개발로 시나브로 ‘도심 퇴장’

일상에서 다양하게 활용돼 왔지만
세월 흐름 속에서 어려움 겪고 있어

활용 고민하고 상상력 불어넣으면
침체된 도시 살리는 침술 될 수 있어

한때 부산의 상징이었다. 부산의 역동성, 부산다움, 혹은 부산 산업을 상징하는 이미지이자 아이콘으로 통했다. 컨테이너 얘기다. 수출이나 항만, 물류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컨테이너였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부산항 북항은 온통 컨테이너로 빼곡했다. 이젠 북항 재개발로 자성대부두의 초대형 하역 장비와 빈 컨테이너가 조만간 신감만부두로 이전한다. 이미 지난달 26일 자성대부두의 빈 컨테이너 일부는 이전을 시작했다. 부산 앞바다에서 터줏대감처럼 자리를 지켜온 컨테이너의 자리바꿈, 나아가 산업화 시대에 부산 산업의 주역이었던 컨테이너의 ‘도심 퇴장’이 시나브로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과거엔 컨테이너 활용이 산업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엔 물자 수송이라는 기능의 한정성을 벗어나 갤러리, 사무실, 음식점, 버스 정류장 등 일상 공간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설치가 쉽고 이동도 비교적 자유로운 게 장점이다. 부산도 일찍부터 컨테이너에 주목했다. 2005년 부산국제영화제(BIFF) 열 돌을 맞아 선보인 ‘비프 빌리지’(파빌리온)가 대표적이다. 해운대해수욕장 주변에 컨테이너를 층층이 쌓아 만든 비프 빌리지는 영화제를 찾는 시민들의 발길이 특히 잦은 곳 중의 하나였다. 2013년 개관한 복합문화공간 사상인디스테이션도 컨테이너의 활용이었다. 20여 개가 넘는 컨테이너로 이루어진 사상인디스테이션은 개관 이후, 서부산 지역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넓히는 데 기여해 왔다. 또 다른 복합문화공간이자 부산 컨테이너 공간의 상징이었던 ‘비콘 그라운드’는 특이하게도 수영구 망미동 고가도로 아래 설치돼 시작부터 주목받았다. 부산 사하구 장림포구, 일명 ‘부네치아’(부산의 베네치아)도 포구 주변을 컨테이너로 꾸며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른 지금, 일부는 그 존재감마저 유명무실해졌고, 일부는 사람들의 발길이 줄어들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중대 갈림길에 선 컨테이너 공간들. 이들의 돌파구를 위해 전문가들은 “시민의 발걸음을 붙잡을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한다. 일각에선 컨테이너를 통해 좀 더 멋진 공간이 연출됐더라면 하는 아쉬움의 목소리도 있다. 컨테이너가 만들어 낸 형태가 더 관심거리가 돼 사람들의 발걸음을 유도하는 경우도 허다하기 때문이다. 공공 예술 프로젝트 일환으로 만든 경기도 안양의 APAP(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오픈스쿨이 대표적이다. 이 역시 컨테이너 구조물이지만,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있거나 땅에서 3m 정도 공중에 떠 있는 듯한 건물 모양이 눈길을 끈다. 오픈스쿨은 샛노란 페인트칠까지 더해져 도시의 랜드마크가 됐다.

컨테이너의 쓰임과 용도는 상상력이 더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부산의 컨테이너 공간들이 세월의 흐름 속에 큰 부침을 겪고 있지만, 외면할 수 없는 이유다.

2022년 열린 카타르 월드컵에서 우리는 보았다. 1000개에 가까운 컨테이너를 활용해 축구 경기장을 일회용으로 만들어 월드컵 축구대회를 개최한 후, 대회가 끝나자 곧바로 해체해 재활용하는 것을 말이다. 이는 컨테이너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카타르 월드컵처럼 컨테이너 활용에 상상력을 더한다면 컨테이너는 향후에도 부산의 상징, 부산의 미래 자산으로 얼마든지 살아남을 수 있다.

컨테이너의 재발견은 그 가능성에 대한 대답이다. 심각한 기후 변화로 인해 겪게 될지 모르는 자연재해에 대비한 주민 피난처나 임시 주거지 등으로 컨테이너를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산불이나 태풍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에서는 텐트가 아닌 컨테이너가 임시 거주 시설로 사용될 수 있다. 부산의 해양도시 건립에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IoT(사물인터넷) 장비를 활용한 컨테이너, 오래된 해상운송 냉동컨테이너를 개조해 스마트 팜으로 활용하는 도시 농사꾼의 이야기는 현실이다. 우리는 컨테이너의 이런 활용과 그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상상력과 고민이 더해진 컨테이너의 다변화는 ‘침체된 도시를 살리는 침술’이 될 수도 있다.

한 도시의 정체성은 그 도시가 갖고 있는 역사성과 고유한 문화적 특성에서 비롯된다. 그런 점에서 컨테이너는 여전히 부산의 상징이고 부산다움이다. 브라질 남부 파라나주의 주도 쿠리치바를 ‘세계가 주목하는 꿈의 생태도시’로 변화시킨 건축가 자이미 레르네르. 그의 말을 빌리자면 침체된 도시엔 건강한 변화를 만들어 내는 ‘도시 침술’이 필요하다. 부산에서 그 침술 하나를 찾는다면, 컨테이너가 될 수 있단 얘기다. 가능성을 품은 컨테이너의 변신이 기대된다.

정달식 논설위원 dosol@busan.com


정달식 논설위원 dos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