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 노리는 여, ‘'반윤’ 모으는 야…조준점 다른 여야 총선 전략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민의힘, 운동권 출신 민주당 현역 지역에 주요 인사 배치
민주당, ‘경찰국 신설’ ‘서이초 교사 사망’ 논란 겨냥 인재영입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이 29일 국회에서 올해 총선 구로을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이 29일 국회에서 올해 총선 구로을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11·12차 인재영입식에서 이지은 전 총경, 백승아 전 교사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강민정·이재정 의원, 이지은 전 총경, 이재명 대표, 백승아 전 교사, 남인순 의원, 김성환 인재위원회 간사.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11·12차 인재영입식에서 이지은 전 총경, 백승아 전 교사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강민정·이재정 의원, 이지은 전 총경, 이재명 대표, 백승아 전 교사, 남인순 의원, 김성환 인재위원회 간사. 연합뉴스

총선에서 ‘운동권 심판론’을 내세운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 ‘86’ 세대를 겨냥한 ‘자객 공천’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나섰다. 반면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의 ‘경찰국 신설’과 ‘서이초 교사 사망’ 논란 등을 겨냥한 인재영입으로 ‘반윤(반윤석열) 전선’ 구축에 힘을 쏟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29일 비대위 회의에서 “이번 총선에서 운동권 특권 정치의 심판이 시대정신”이라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자기 손으로 땀 흘려서 돈 벌어본 적 없고 오직 운동권 경력 하나로 수십년간 기득권을 차지하면서 정치 무대를 장악해 온 사람들이 민생 경제를 말할 자격이 있는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에선 민주당의 ‘운동권’ 출신 의원에 집중적으로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 서울대 총학생회장과 전국학생총연합 의장 출신인 민주당 김민석 의원 지역구(서울 영등포을)에 국민의힘에선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이 도전장을 냈다.

전대협 초대 의장 출신인 민주당 이인영 의원 지역구(서울 구로갑)에는 YTN 앵커 출신 국민의힘 영입 인재인 호준석 대변인이 상대로 나섰다. 전대협 3기 의장을 지낸 임종석 전 문재인 대통령 비서실장이 출마를 준비 중인 서울 중·성동갑에는 윤희숙 전 의원이 출마를 선언했다. 전대협 6기 의장대행 출신인 박홍근 전 민주당 원내대표의 서울 중랑을에는 이승환 전 중랑을 당협위원장이, 경희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현재 민주당 이재명 대표 비서실장인 천준호 의원의 서울 강북갑에는 전상범 전 부장판사가 나설 계획이다. 국민대 총학생회장 출신인 윤건영 의원 지역구인 서울 구로을에는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이 출마 의사를 밝혔다.

반면 민주당은 ‘경찰국 신설’ ‘서이초 교사 사망’ 등 윤석열 정부의 논란 사안을 겨냥한 인재 영입으로 ‘반윤석열’ 전선을 분명히 했다. 민주당 인재위원회는 29일 11, 12호 인재로 경찰국 신설 반대 총경회의를 주도한 이지은 전 총경, 전국초등교사 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백승아 전 교사를 발표했다.

이 전 총경은 부산 출신으로 경찰대 졸업 후 서울대 사회학 석사, 영국 캠브리지대 범죄학 석사를 수료했다. 이후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해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했다. 이 전 총경은 3호 영입인재인 류삼영 전 총경과 함께 경찰국 신설에 반대하는 전국 총경회의를 주도한 인물이다. 이 전 총경은 “윤석열 정부는 국민의 안전은 안중에 없고 경찰을 정치화해 정권 유지에 활용하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며 “경찰 본연의 숭고한 가치를 회복시키고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수사기관 개혁을 완성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 수석부위원장은 충북 제천 출신으로 춘천교육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했으며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17년간 초등학교 교사를 지냈다. 그는 지난해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 사망 사건 당시 전국 초등교사노동조합 부위원장으로서 진상 규명을 촉구했으며 교사 순직 인정을 위한 활동을 이어왔다.

백 수석부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교육 전문가인 교사들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졸속으로 각종 교육정책을 시행하며 교권을 무너뜨리고 있다”면서 “실질적인 교권 보호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정책 마련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