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대륙연구 전초기지 ‘장보고기지' 설립 10주년…"극지 연구 국격 높여"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수면 변화 주요 요소인 ‘남극 빙붕 붕괴 과정’ 세계 첫 규명
난센 빙붕 연구 통해 해수면 상승 예측 체계 기반 마련
장보고기지부터 남극 내륙연구 거점까지 K루트 독자 개척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전경(항공사진). 해수부 제공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전경(항공사진). 해수부 제공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남극 대륙연구의 전초기지인 '남극 장보고과학기지'가 올해로 설립 10주년을 맞았다고 12일 밝혔다.

2014년 2월 12일 동남극 테라노바만에 설립된 남극 장보고과학기지는 한국이 세종과학기지에 이어 남극에 세운 두 번째 과학기지다. 장보고과학기지는 남위 62도의 킹조지섬에 위치한 세종과학기지보다 남극 중심부로 접근하기 쉬워 남극 빙하와 대륙연구에 큰 역할을 했다.


남극지도 다이어리에 있는 지도. 해수부 제공 남극지도 다이어리에 있는 지도. 해수부 제공

우리나라 연구진은 지난 10년간 남극 장보고기지를 통해 본격적인 빙하연구를 수행했다.

그 성과물로 해수면 변화의 주요 요소인 남극 빙붕(남극 대륙빙하와 이어진 수백m 두께의 얼음덩어리)의 붕괴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2018년)했다. 연구진은 또 미국·영국과 함께 남극의 초대형 빙하 중 하나로, 면적이 약 19만 2000㎢에 달하는 스웨이츠 빙하를 연구(2019~2022년)했으며, 난센 빙붕 연구를 통해 빙붕 안정도 평가모델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등 해수면 상승 예측 체계 기반을 마련했다.


우리나라가 지난해 남극 장보고과학기지부터 남극 내륙연구 거점까지 대한민국만의 독자적인 육상 루트(K루트)를 개척하는데 성공했다. 사진은 K루트 중 일부. 해수부 제공 우리나라가 지난해 남극 장보고과학기지부터 남극 내륙연구 거점까지 대한민국만의 독자적인 육상 루트(K루트)를 개척하는데 성공했다. 사진은 K루트 중 일부. 해수부 제공

극지 연구의 지평을 대륙까지 넓히는 성과도 있었다. 남극 운석 탐사를 통해 확보한 운석으로 운석-지질 연구와 빙하-빙권 연구를 수행(2014년~)했으며, 세계에서 네 번째로 두꺼운 빙붕 시추 기록을 세워(2023년) 얼음으로 덮여있던 바다를 탐사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장보고기지부터 남극 내륙연구 거점까지 대한민국만의 독자적인 육상 루트(K루트)를 개척하는데도 성공했다.

아울러, 우리나라 주도로 장보고기지 인근 인익스프레시블섬의 남극특별보호구역 지정(2021년)에 앞장서고, 인익스프레시블섬에 사는 아델리펭귄의 취식지 변화도 최초로 확인하는 등 국제사회에 대한민국 극지연구의 위상을 높였다. 이밖에도 남극 해양생태계 보존을 위해 세계 최대 해양보호구역인 남극 로스해와 인접한 장보고기지의 지리적 장점을 활용해 로스해 생태계 보존 방안에 대한 종합적 연구(2017~2021년)를 수행했으며, 세계 최초로 남극 이빨고기(메로)의 염색체를 해독하는 데 성공(2020년)하며 남극해 주요 조업국으로서의 역할도 해냈다.


해수부가 올해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공개한 ‘장보고체’. 해수부 제공 해수부가 올해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공개한 ‘장보고체’. 해수부 제공

한편, 해수부는 이번 남극 장보고기지 10주년을 기념해 ‘장보고체’를 공개했다. ‘장보고체’는 지난해 극지연구소에서 ‘대국민 손글씨 공모전’을 통해 선정‧개발됐다. 해양수산부 누리집(www.mof.go.kr)과 극지연구소 누리집(www.kopri.re.k)에서 무료로 내려받아 이용할 수 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국민들의 지지와 대원들의 사명감 덕분에 지난 10년간 남극 장보고과학기지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의미있는 연구성과들을 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그간의 연구성과와 기지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극지 연구 선도국으로의 도약’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