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지는 이야기] 오래 씹을수록 오래 산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손은주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영양팀장/동남권항노화의학회 식품영양이사

어릴 때 누구나 한 번쯤 ‘꼭꼭 씹어 먹어라’는 말을 들은 기억이 있을 것이다. 천천히 오래 씹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인은 밥을 빨리 먹는 것으로 유명하다. 고대안산병원 김도훈 교수팀이 건강검진을 받은 8775명의 식사 시간을 분석한 결과 5~10분이 44.4%로 가장 많았으며, 10~15분은 36.2%, 5분 미만은 7%로 거의 90%가 15분 이내 식사하며, 절반 이상은 10분 이내로 식사를 마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을 빨리 먹는 사람은 씹는 횟수도 적다.

왜 이렇게 오래 못 씹고 빨리 먹을까? 한국인의 ‘말아 먹는’ 식문화도 한 요인이 될 것이다. 물에 밥 말아 먹기와 국에 밥 말아 먹기와 함께 된장찌개에 밥을 말아 술안주로도 먹는다. 식사 시 다른 곳에 집중하면 식사 속도 조절이 어렵고, 오래 씹기도 쉽지 않다. 식사 시 TV 시청이 대표적이 예이다. 최근 1인 가구나 ‘혼밥’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TV나 핸드폰을 보며 식사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노화가 진행되면 치주질환 등으로 씹기가 어려워진다. 명지대 박혜련 교수팀이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 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만 65세 이상 48.1%가 음식을 씹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을 충분히 씹지 않고 빨리 먹으면 과식할 수 있다. 포만감을 느끼려면 식욕억제호르몬인 렙틴이 필요하고, 렙틴은 식사 시작 후 최소 15분이 지나야 분비된다. 식사를 15분 내로 하게 되면 렙틴이 분비되지 않아 포만감을 덜 느끼게 되고 이는 과식으로 이어질 수 있어 비만의 원인이 된다. 또한 과식을 하면 음식물이 위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위산에 더 많이 노출돼 위장관계 질환의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천천히 오래 씹으면 침샘을 자극해 침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침은 항균·살균 효과로 음식물의 유해 세균을 죽이고, 충치 예방과 탄수화물 분해를 통해 소화를 돕기도 한다. 침 속 ‘페록시다아제’라는 효소는 세포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해 체내 면역력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오래 씹으면 치매도 예방할 수 있다. 씹는 행위는 대뇌피질을 자극하고, 뇌로 가는 혈류를 증가시켜 뇌세포에 충분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해 치매에 걸릴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최근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연구팀은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발치 뒤 임플란트 등의 치아 복구조치를 취하지 않고 빈 곳을 방치해 씹는 능력이 떨어지면 치매 발생 위험이 커진다고 보고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적어도 30회 이상 씹으라고 권고한다. 그러나 이는 쉬운 일이 아니며 음식의 부드럽고 딱딱한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횟수를 목표로 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횟수를 세기 보다는 음식물이 쉽게 삼킬 수 있도록 작아지고 충분히 부드러워 질 때까지 씹는 습관을 들여 보자. 젓가락은 숟가락에 비해 한입에 넣는 음식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젓가락 사용을 늘리는 것도 좋다. TV시청이나 핸드폰 보는 습관을 줄이는 훈련도 필요하겠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