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톡톡] 성장통 겪으며 한 뼘 더 자란 제자들에게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차유라 화명초등 교사 / 부산교사노조 정책팀장

한 해 동안 희로애락을 함께한 제자들에게 저의 진심이 닿기를 바라며 이 글을 전합니다.

2월 졸업식 후 텅 빈 교실을 보니, 작년 한 해를 함께했던 여러분의 얼굴들이 하나둘 떠오릅니다. 3월 2일 처음 만난 여러분들에게 약간의 거짓을 섞어 ‘사랑’을 고백했습니다. 일 년이 지난 지금은 ‘진심으로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말로 사랑하게 되니 헤어지는 게 아쉬워집니다.

지난 일 년간 우리는 비밀 이야기도 나누며, 엉뚱한 과학실험도 하며 참 즐거웠습니다. 우리 반 시장놀이에서 산 여러분의 손때 묻은 십자수 쿠션은 저의 방 한편에 있습니다. 오래달리기 대회에서 우리 반 꼬맹이 열 명에게 진 날 선생님 발바닥에 남은 물집도 이제 아물었습니다. 팔씨름 대회에서 우리 반 1등이었던 선생님이 이제 10등이 되었다니, 힘이 세진 여러분이 참 기특합니다. 여러분의 순수함이 좋았기에 저는 웃음이 많은 선생님이었습니다.

저의 엄격함과 단호함에 야속한 순간도 많았을 것입니다. 서운한 마음도 들었겠지요. 수행하기 힘들고 벅찬 과제들에 포기하고 싶은 순간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은 선생님이 여러분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사랑이었습니다. 스승과 제자로 만난 우리이기에 선생님은 교사로서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사랑을 베풀었습니다. 어려운 수학 문제를 푸는 것, 정리 정돈을 하는 것, 친구에게 양보해야 하는 것, 화나는 마음을 참는 것 등 학교에는 참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사실 ‘아이들이 원하는 것만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순수하고 착한 마음을 가진 여러분이 원하는 것은 다 들어주고 싶은 마음이 컸기 때문입니다.

조금 더 살아본 선생님의 경험으로 미뤄 볼 때 어려운 일을 겪을 때는 참 힘들고 눈물 나지만 극복하고 나면 큰 성장이 옵니다. 어른들은 이것을 성장통이라 부릅니다. 여러분이 성장통을 겪으며 많이 성장한 것을 선생님은 알고 있습니다. 여러 사람 앞에서 당당하게 발표할 수 있게 된 것, 양보하는 스스로를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것, 욕심보다는 정의를 우선하며 선택하는 것 등 어른들도 쉽게 할 수 없는 일을 척척 해내는 여러분은 참 빛나는 사람입니다. 이 모습을 보며 선생님도 함께 고민하고, 감동받고, 성장통을 겪으며 조금은 더 자랐습니다.

그럼에도 여러분에게 다 주지 못한 아쉬움이 참 크기에, 여러분이 살게 될 세상을 조금 더 나은 세상으로 만들고자 오늘도 공부하고, 고민합니다. 더욱 훌륭한 선생님이자 어른이 되고 싶도록 만들어 주어서 참 고맙습니다. 친구를 놀려서 꾸중을 들어도 함께 마시던 요구르트 한 잔에 마음을 풀어주어서, 어려운 수학 문제를 푼 후 받는 사탕 하나에 뛸 듯이 기뻐해줘서, ‘선생님은 다 알고 있어’라는 말을 믿어줘서, 초롱초롱 빛나는 눈으로 수업 시간에 집중해줘서, 세상이 뭐라 해도 나는 내가 선생님임을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도록 해줘서 고맙습니다. 참 고마운 여러분에게 참된 교육으로 세상을 밝혀 보답하겠습니다.

사랑하는 나의 제자들아, 나의 눈에 보석처럼 반짝이는 만큼 너희들도 스스로의 구석구석을 찬찬히 들여다보며 소중히 여겨주기를, 무엇보다 자신을 사랑하기를, 행복하기를 바란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