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괴정5구역과 지역 건설사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진성 재테크팀장

서부산권 최대 재개발단지로 주목받고 있는 괴정5구역 재개발사업의 시공사가 '포스코건설-롯데건설 컨소시엄'으로 최근 결정됐다. 관심을 끌었던 지역 건설사 참여는 무산됐다.

괴정5구역 재개발사업에 관심이 많았다. 이전까지는 재개발·재건축사업에 대한 인식이 그리 좋지 않았다. 비리의 온상처럼 느껴졌다. 10여 년 전 사회부 근무 당시, 조합장이 시공사 선정과정에서 뇌물을 받아 구속되는 일이 허다했고, 조합원들 간의 갈등으로 고소고발이 난무했다. 평생을 함께 살아 온 주민들이 한순간에 원수가 되기도 했다.

시공사 포스코-롯데 컨소시엄
지역 건설사 공동도급 참여 불발
조합, 추가 공사 지역업체 참여 방침
2·3 단계 사업 지역 업체 참여 기대

당시 잇단 항의전화로 업무가 마비된 적도 있었다. 보도 내용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왜 보도를 했느냐는 게 이유였다. 물론 일부 재개발·재건축사업의 일이긴 했지만 당시 재개발·재건축사업의 부작용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됐다.

괴정5구역 재개발사업은 기존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됐다. 괴정5구역도 10년 전 다른 대상지들처럼 정비촉진지구 뉴타운으로 지정됐으나 일부 주민들의 반대와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건설업계 경영난 등으로 재정비촉진지구에서 해제됐다.

하지만 도시정비사업의 필요성을 느낀 주민들의 노력과 열망으로 2015년 1월 '주민자치 생활권시범마을'로 선정됐다. 부산에서는 괴정5구역이 처음이었다.

주민자치형 생활권 시범마을 지정 이후 주민 참여도는 엄청났다. 주영록 조합장을 비롯해 마을 주민들은 사비를 들여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했고, 보다 많은 주민의 참여를 이끌어 냈다. 주민들의 전폭적인 지지로 '주택재개발 시범지구지정→정비구역지정 동의→조합설립추진위원회 구성→조합 설립→시공사 선정'까지 걸린 기간이 단 1년에 불과했다. 상당수 재개발지역의 추진 기간이 길게는 10년 이상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획기적인 일이었다. 특히 모든 업무를 공개적으로 처리한 조합 측의 사업 진행으로 과거 난무했던 각종 비리는 자취를 감췄다.

괴정5구역에 관심을 갖게 된 또 다른 이유는 지역 건설사들의 참여였다. 재개발·재건축사업 대부분은 국내 메이저급 건설사들이 독식하고 있다. 대규모 사업장일 경우 더욱 그렇다. 주민들 입장에선 메이저급 대형 건설사가 시공을 하면 든든할 것이다. 사업이 완료됐을 때 재산적 가치 또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일 것이다.

하지만 괴정5구역의 지역 건설사 참여 방식은 '공동도급'이었다. 지역 건설사가 단독으로 시공에 나서는 게 아니라 메이저급 건설사와 함께 참여하는 방식이다. 그만큼 지역 건설사의 참여 가능성을 높인 것이다.

부산시도 힘을 보탰다. 지역 건설사가 사업에 참여할 경우 용적률 인센티브를 주기로 한 것이다. 실제 괴정5구역 사업에 5~6개의 지역 건설사들이 뛰어들었다. 하지만 이들 건설사는 올 7월 시공사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불참한 이유를 두고 확인되지 않은 소문만 무성했다. 메이저급 건설사들이 공동도급을 원하지 않아 컨소시엄이 이뤄지지 않았다거나 사업 진행에 따른 지역 건설사들의 부담 등의 설이 나돌았다.

조합은 시공사 선정 이후 정관을 개정해 사업 계약서에 지역 건설사 지분을 넣겠다는 계획이지만 성사될 가능성은 낮다. 현행 도시정비법상 입찰 결과를 뒤엎는 형식의 정관 개정은 할 수 없는 것이다.

이유야 어쨌든, 4000세대 가까운 대형 사업에 지역 건설사가 참여하지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특히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 따른 경기 침체 속에 활로 개척에 사활을 걸고 있는 지역 건설사들의 입장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조합은 추가 공사가 발생하면 지역 업체를 반드시 넣겠다는 입장이다. 지역 업체 용적률 인센티브 또한 유효하다. 괴정5구역은 모두 3단계 사업 총 1만 5000세대 규모로 예정돼 있다. 남은 2·3단계에서는 지역 건설사들의 참여가 반드시 이뤄졌으면 한다.

paper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