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울, 막대한 규모 원전해체산업 중심지로 도약하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원전해체연구소의 고리원전 내 설립이 공식화됐다. 산업통상부는 어제 국내 최초의 해체 예정 원전인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전 1호기 현장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가졌다. 2021년 하반기까지 경수로 분야의 원전해체연구소는 고리원전 내에, 중수로해체기술원은 경북 경주에 설치한다는 내용이다. 원전해체연구소가 부산·울산 접경 지역인 고리원전 유치로 확정된 만큼 두 도시는 이제 손을 맞잡고 원전해체산업 중심지로의 도약이라는 공동 과제를 풀어나가야 한다.

원전해체에 드는 천문학적 비용을 고려하면 원전해체 기술은 막대한 시장 가능성을 지닌 ‘블루오션’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원전해체산업의 잠재적 규모는 22조 원, 전 세계로 따지면 관련 산업 수요가 550조 원이 넘는다는 게 정부 추산이다. 우리나라 원전해체 기술은 96개 핵심 기술 가운데 73개만 보유하고 있어 아직은 해체의 전 공정을 감당할 수준은 아니라고 한다. 나머지는 원전해체연구소가 추가 연구를 통해 확보해야 하는 상황인 만큼 연구소에 주어진 과제가 막중하다. 향후에는 선진국의 일반적 기술 수준을 뛰어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해 원전해체 시장을 이끌고 나가는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는 원전해체 기술 축적에 뒤늦게 뛰어들어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가 물량 조기 발주, 민관 공동 연구개발(R&D), 장비개발·구축 등 적극적인 선제 투자를 펼쳐야 한다. 향후 기술 확보는 물론이고 태부족한 전문인력 충원을 위해서도 적극적인 투자가 절실하다. 정부 차원의 ‘원전해체산업 육성방안’도 서둘러 나와야 한다. 이날 현장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누차 거론됐거니와, 고리 1호기 해체를 기회 삼아 미래 먹거리로서 원전해체 시장을 선점할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원전해체연구소의 최적지로 꼽혀온 기장군의 주민들이 단독 유치 실패에 반발하는 건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그러나 부산·울산 접경지역 유치가 나쁘지만은 않다는 게 전문가를 비롯한 많은 이들의 전망이다. 이웃 도시 울산과의 상생과 협치라는 대의를 통 크게 받아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앞으로 세수 분배 문제나 대표성 상징으로서의 출입구 확보, 관련 산업체의 유치 등은 착실히 준비하면 될 일이다. 두 도시가 미래를 향한 공동 발전의 역사적 출발선에 섰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