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지국제신도시 침하 무대책] 부산시, 3D 지도 완성까지 대책 없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시는 지난 2017년 5월 ‘지질·지반조사 자료구축 및 종합계획 수립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지하 지반 현황을 파악해 건축물과 도로 등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부산시는 지하 현황을 완벽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조례에 따라 만들어지는 지도 제작에만 수년이 걸리면서 제작 완료까지 수년간 지반침하에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부산시, 2년 전 조례 제정하고

지난해 11월 종합계획 용역 돌입

지하 현황 완벽 파악 3D 지도

2022년 완료까지 대응 방법 없어

부산시는 ‘지질·지반조사 자료구축 및 종합계획 수립에 관한 조례’를 근거로 지난해 11월 종합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3D 지질도와 연약 지질 등 지진 재해 지도 제작을 목적으로 부산대 연구팀과 협력해 본격적인 데이터를 지도로 만드는 일종의 계획 용역이다. 서울시가 8년 전인 2011년부터 ‘지반정보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해 지질 조사와 연약지반 위치를 파악해 지반침하 방지책을 펼치는 것에 비하면 ‘거북이 행보’다.

시는 지난해 11월 첫 단계인 종합계획 수립 1차 용역에 예산 9000만 원을 투입했고 향후 2~4차 용역을 포함해 용역비로만 총 6억~7억 원의 시비를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오는 2022년을 지도 제작 완료 연도로 추정하고 있다. 지도가 완성되면 지하 밑 구조물을 3D 지질도를 통해 파악할 수 있고 사전에 각종 침하, 관로 노후화 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2022년 이전 발생 우려가 있는 지반침하에 대한 대책 마련은 전무한 실정이다. 지도와는 별개로 명지국제신도시와 같은 연약지반의 경우 특별관리 조례를 만든다든지 특별 점검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부산시 관계자는 “현재 준비 중인 지도가 완성되면 3D로 지질 파악이 가능해 이를 재해 방지 도시계획에도 활용할 계획”이라며 “연약지반으로 꼽히는 낙동강 하구 일대 지반침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등과 협력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준용·곽진석 기자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