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부마항쟁 40돌을 맞이하여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문정수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이사장

10월 16일은 아주 뜻깊은 날이다. 부마민주항쟁이 발발한 지 40돌을 맞이하며 늦게나마 국가 기념일로 지정돼 정부가 주도하는 최초의 기념식이 치러진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부산·마산에서 유신체제에 대항해 발생한 민주화운동’을 의미한다. 자유당 이승만 정권의 장기 독재를 종식시킨 4·19 혁명 이후, 5·16군사정권에 의한 18년간의 오랜 기간 군사정권에서 짓눌려온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는 데 결정적 기여를 한 주권 재민의 시민항쟁이었다. YH여공들의 신민당사에서 농성을 강경폭력으로 진압하면서 김경숙 여공을 죽음에 이르게 했고 노동자들을 보호하던 국회의원 20여 명에게 무자비한 폭행을 자행했다. 김영삼 총재직을 정지시키고, 급기야 10월 초순에는 국회의원 제명이라는 유사 이래 폭거를 자행한 정치탄압이 극도에 달했다. 오랜 유신에 저항해온 민주 시민정신은 1979년 16일 부산대를 필두로 18일 마산 대학생들과 함께 위대한 부마항쟁으로 유신독재를 끝낸 이 땅의 민주주의를 실현한 금자탑이었다.

이후 1980년 ‘서울의 봄’을 거쳐 신군부의 정치적 도발에 저항한 5월 광주민주화운동이 발발하였다. 그리고 7년 후 신군부의 독재를 무너뜨린 6월 항쟁이 발발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마민주항쟁은 4·19 혁명에서 6월 민주항쟁까지 이어지는 도도한 민주화 대장정의 토대였던 것이다. 부산민주항쟁 여러 단체는 부산시와 더불어 작년 5월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범시민준비위원회’를 꾸려서 부마민주항쟁의 국가기념일 지정을 위한 범국민운동을 벌인 바 있다. 그리하여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이 설립되었고, 올해 9월 24일에는 부마민주항쟁이 공식적으로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부마민주항쟁을 우리 현대사 속에 올바로 자리매김하고 그 정신을 기념하고 계승할 수 있는 부마민주항쟁의 국가기념일 지정에 박수를 보낸다.

올해는 서슬 퍼런 일제 치하의 공포와 두려움도 아랑곳 않으며 아우내 장터 뿐 아니라 전국의 골목골목에서 ‘대한독립만세’, ‘독립만세’가 울려 퍼진 3·1만세운동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3·1운동의 항일 민족독립정신은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의 근본 토대이며, 우리 민족이 반드시 이뤄내야 할 평화통일의 역사적 근간이었다. 그로부터 100년의 세월동안 우리 민족사에서는 4·19혁명, 부마민주항쟁,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 2016년 촛불시민혁명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역사적 투쟁이 끊임없이 이어져왔다.

그러나 올해 2월 베트남의 하노이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이 성과 없이 결렬되고 4·27 판문점 선언 이후 곧 도래할 것 같았던 남북의 화해, 평화 공존 및 통일의 길이 여전히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현재 우리 사회는 검찰개혁을 둘러싸고 깊은 사회적 갈등에 휩싸여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 외세의 침략에도 굴하지 않은 우리 민족의 힘은 단기간의 사회적 갈등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더 진전된 민주주의로 향해 나아갈 것이라고 확신한다. 올해 부마민주항쟁 40주년을 맞아 부마민주항쟁에서 나타난 민주 시민의 역량을 되살려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더욱 발전시키고 민족의 화해와 공동번영, 평화통일의 기틀을 다져나갈 수 있기를 염원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