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도전자들] 예술하는 공학자 김태희

오금아 기자 chri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AI와 예술 넘나드는 와이즈유 문화콘텐츠학부 교수

디지털센터 김강현 PD · 고윤애 대학생인턴 gangdoo@

김태희 교수가 영도 깡깡이마을에 있는 작업실에서 자신의 작품 ‘로봇 미러’를 설명하고 있다. 정대현 기자 김태희 교수가 영도 깡깡이마을에 있는 작업실에서 자신의 작품 ‘로봇 미러’를 설명하고 있다. 정대현 기자

툭! 돌이 발부리에 차였다. 순간 미래의 김 박사는 생각한다. ‘돌에 지능이 있다.’

김태희(55) 와이즈유 문화콘텐츠학부 교수는 철학자 같은 공학자다. “지능을 컴퓨터로 구현할 때 룰(rule)이 중요한데, 돌의 입장에서 ‘사람이 나를 차면 넘어진다’는 룰이 적용되는 거죠. 그 자리, 그 시간, 그 사람을 만나는 장소성·시간성·관계성을 전제로 돌도 지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진다는 뜻”이라고 김 교수는 전했다. 만화 ‘우주소년 아톰’ 속 김 박사를 꿈꾸던 청년 김태희는 전자공학과 졸업 뒤 영국 에든버러대 AI학과에 진학한다. “인공지능과 로봇을 같이 공부할 수 있는 곳이었죠. AI의 토대에 대한 수업을 듣는데 지능이란 무엇인지, 지능은 마음과 몸 중 어디에 있는지 묻는 철학적 토론이 오갔습니다.”

마음에 대한 질문은 공학도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 줬다. 제대로 된 지능시스템을 만들려면 인간과 철학을 알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귀국 후 강단에 서서도 깨달음의 갈증이 남았다. “과학의 틀 안에서는 답이 나오지 않더군요. 학문과 비학문의 경계에 있는 예술에선 가능할 거라 생각하고 2008년 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대학 예술석사 과정에 다시 들어갔어요.”

2년 뒤 학위를 마치고 AI 로봇공학자 김태희의 아티스트 변신을 알리는 첫 개인전을 대안공간 반디에서 열었다. 전시 제목은 ‘바위와 가상 사이’. 박사논문 준비 때 발에 차인 돌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와 작품과 관객 사이 관계 반응을 풀어낸 작품이다. 높은 수준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작업이 가능한 작가로 평가받는 김 교수는 거울처럼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가는 ‘로봇 미러’ 등을 발표하며 20회 이상 전시회를 열었다.

‘AI 로봇공학과 예술’ 두 길을 걷는 김 교수에게 도전이란 무엇인지 물었다. “잠재적 가치를 다 발휘하고 갈 수 있도록 끝없이 자신을 발견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최근 그는 다시 AI에 도전 중이다. ‘알파고’의 등장에 자극받아 출범한 인공지능연구원의 ‘딥러닝을 이용한 춤추는 AI’ 개발자로 참여했다. “춤 잘 추는 AI가 성공하면 기술 개발 파급력이 큽니다. 개발 결과는 제 예술작업에 다시 적용될 겁니다.” AI와 예술을 넘나드는 김 박사의 차기 도전이 궁금해진다.

오금아 기자 chris@busan.com


오금아 기자 chr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