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전, 3040이 부산진구 음식점서 가장 많이 썼다

송지연 기자 sj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시 지역화폐 동백전이 가장 많이 사용된 업종은 일반 음식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30~40대 이용자가 가장 많았으며, 구·군 중에서는 부산진구에서 결제된 금액이 가장 컸다. 연령대별 구·군별 이용 편차를 줄이고, ‘발급 허들’을 넘을 수 있는 적극적인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혜 불균형 보완책 시급

19일 부산시의회 경제문화위원회 곽동혁(수영구2,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지난 15일까지 동백전 가입자는 3만 3735명이고, 발행액은 42억 3400만 원이다. 실제 사용액은 발행액의 41.7%에 해당하는 17억 6600만 원이다.

가장 결제가 많이 이뤄진 곳은 일반음식점(5억 2503만 원)이었으며, 이어 병원·약국(3억 2040만 원), 학원(2억 7747만 원) 순이었다. 동백전의 대형마트와 백화점 사용 금지로 인해 수혜가 예상됐던 지역 슈퍼·마트 사용 금액은 1억 2758만 원으로, 결제 규모는 전체 18개 업종 중 5번째 수준이었다.


3만 3000여 명 가입, 발행액 42억 원

업종별 사용액 병원·약국, 학원 2·3위

60대 이상, 전체 가입자의 5%도 안 돼


지역업체 기반 강력한 플랫폼 연계

파격적 캐시백 유인책·홍보 필요


구·군 별 결제금액은 업체 밀집도에 따라 편차가 컸다. 부산진구(2억 9173만 원)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해운대구(2억 3049만 원), 연제구(1억 8377만 원) 순이었다. 자체 지역화폐 이바구 페이를 발행한 동구는 전체 구·군 결제의 3%인 5336만 원에 불과했고, 서구(3489만 원), 영도구(2190만 원)의 사용금액도 최저 수준을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한 30~40대 이용자가 압도적이었다. 전체 가입자 중 39~49세가 32.1%(1만 897명), 30~39세가 30.7%(1만 442명)로 전체 가입자의 3분의 2를 차지했다. 반면 60대 이상은 1665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4.9%에 불과했다. 부산시 인구 중 60세 이상이 27%에 달하는 것을 감안하면, 인구대비 가입자 수가 현저히 낮은 것이다.


■강력한 플랫폼과 연계해야

발급의 번거로움을 뛰어넘을 강력한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곽 의원은 “지역화폐는 시민들이 지역업체에 돈을 쓰도록 습관을 바꾸게 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발급 허들’에 걸려 포기하지 않도록 시스템 보완과 홍보가 급선무”라고 말했다.

가입자 수를 늘리는 것은 지역화폐의 지속가능한 구조를 만드는 데에도 필수적이다. 캐시백 요율이 떨어지고 예산 지원이 없더라도 지역업체 상품의 할인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온라인 기반의 플랫폼이 해결 방안으로 꼽힌다.

단적인 예가 인천시의 ‘e음 몰’이다. 인천시 지역화폐 ‘e음’ 앱은 지역업체 중 추가 할인을 해 주는 ‘혜택 플러스 가맹점’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e음 몰로 연결된다. 시민들은 저렴하게 상품을 구매하고, 상공인들은 플랫폼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마케팅을 하는 셈이다. 올해 인천시는 캐시백 요율을 3.5%로 줄었지만, 혜택 플러스 가맹점 6만 개를 확보할 방침이다.

인천시 e음 몰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이용자 100만 명을 기반으로 한 강력한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사)부산중소상공인살리기협회 이정식 회장은 “동백전이 다양한 플랫폼 사업과 연계되면 지역 상공인들에게도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초기 가입자 확보가 성패 좌우

플랫폼 사업의 성패가 이용자 수 확보에 달린 만큼 동백전 초기 가입자 확보가 중요하다. 내달부터 6%로 캐시백 혜택이 줄어들면 폭발적인 흥행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예산 부담을 문제로 제기한다. 사용금액이 늘면 캐시백 지원 예산도 커지기 때문이다. 지난해 1조 5000억 원 규모로 지역화폐를 발행한 인천시는 ‘규모의 경제’ 원리가 적용돼 발행액이 많으면 오히려 예산 부담을 줄인다고 주장했다. 인천시 지역화폐 안광호 팀장은 “지난해 외부 연구를 통해 100억 원의 예산을 쓰면 290억 원의 지역 업체 매출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지역화폐 정책은 어떤 지역경기 부양책보다도 비용 대비 효과가 큰 강력한 정책”이라고 말했다. 지역 업체의 매출 증가는 세수 증대로 이어져, 인천시는 전년보다 1500억 원 가까이 부가가치세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안 팀장은 “지속가능한 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도입 초기 소비자의 구매 패턴을 바꿀 만큼 파격적인 캐시백 등의 유인책과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송지연 기자 sjy@busan.com


송지연 기자 sj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