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항 2단계 사업자’ 부산시 큰 그림은 개발 밀도 낮추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북항재개발 2단계 사업 마스터플랜 조감도. 부산일보DB

부산시가 북항재개발 2단계(이하 2단계) 사업에 참여한 것은 개발 밀도를 낮추고 친수공간 등을 늘리기 위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으로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기 전까지 개발 방향 등을 놓고 논란이 예상되는데, 지분이 없는 부산시의 구상이 얼마나 반영될지는 미지수다.

“분양 면적 비율 50% 미만” 의지
실질 지분 없어 현실화 미지수

부산시는 지난달 31일 2단계 사업 시행자 컨소시엄에 참여해 해양수산부에 사업의향서를 제출했다. 이 컨소시엄에는 부산항만공사(BPA), 부산도시공사,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4개 기관이 참여했다. 5월까지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데, 의향서를 먼저 낸 곳만 자격이 있다. 동원개발도 의향서를 제출했지만 사업의 규모, 공공성 등의 측면에서 부산시 컨소시엄이 시행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지역에서는 2단계 사업에 부산시가 참여한 구체적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기본적으로 2단계 사업의 주도권을 해수부가 아닌 부산시가 쥐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부산시 김광회 도시균형재생국장은 “항만재개발인 1단계와 달리 2단계는 항만, 철도, 산단이 포함된 통합재개발”이라며 “BPA 단독으로 할 경우 재정 부담도 크고 부산시는 엑스포도 유치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측면에서 부산시가 함께하는 게 낫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이미 자체적으로 ‘북항재개발 사업 조정협의회’(팀장 박성훈 경제부시장)를 꾸려 논리를 개발하고 정리해 왔다. 그 중심에는 지난해 2월 임명된 김인철 총괄건축가(부시장급)가 있다. 협의회의 자문역을 맡고 있다.

부산시가 사업에 참여한 구체적인 이유는 크게 3가지로 압축된다. 먼저 부산시는 해양수산부의 사업자 공모 가이드라인의 문제를 지적한다. 건축계획에 건폐율, 용적률, 높이, 건축허용용도 등 구체적인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나중에 건축지침을 정할 때 사업자와 부산시 간의 갈등이 불거지고, 부산시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현재 제시된 개발 콘셉트에 대해서도 아쉬워한다. 자성대베이를 중심으로 부산진테라스, 마이스(MICE), 사일로콤플렉스가 펼쳐지는 모양이다. 부산시는 도시계획 개념에 부합하지 않고, 부산의 정체성에도 맞지 않는다고 본다. 시설을 분산 배치해 교통 정체를 막아야 하고, 콘셉트도 기능에만 맞추지 말고 도시디자인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장 쟁점이 될 만한 것은 개발 밀도다. 부산시는 토지이용계획상 70%가 상업·업무 기능이라 개발 밀도가 높다고 본다. 부산시 김광회 국장은 “분양 면적이 전체의 54.5% 정도 되는데, 이 비율이 50%가 안 넘게 해야 한다”며 “2단계에서는 배타적이지 않은 오픈 스페이스(열린 공간)와 워터프런트(친수공간)가 많아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산시가 얼마나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개발을 이끌어갈지는 미지수다. 2단계 사업의 최대 지분(약 52%)은 BPA가 갖고, LH 지분이 33%다. 부산시 산하 공기업인 부산도시공사는 15%뿐이다. 사업에 참여한 기관의 관계자는 “부산시는 쉽게 말해 욕심은 있는데, 돈은 없는 상황”이라며 “대주주인 BPA는 최소한의 사업성이 보장돼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앞으로 개발에 대한 마찰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BPA 관계자는 “항만공사는 사업 시행자 중 하나인데 2단계에는 엑스포, 철도부지 이전 등의 리스크가 있다”며 “지자체가 토지이용계획이나 부지 활용이 바뀌는 문제 등을 주도적으로 해결해 준다면 리스크 극복에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김마선·김준용 기자 msk@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