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부산항 신항 노른자위 ‘서컨테이너 부두’ 운영권 협상 무산 위기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매립이 끝난 부산항 신항 2-5단계 부두. 개장을 불과 2년 앞두고 운영권 협상이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부산일보DB

2022년 문 여는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부두(서컨) 운영권을 두고 부산항터미널 컨소시엄(BPT)과 부산항만공사(BPA)의 협상이 결렬 위기에 빠졌다. BPA가 물동량 확보와 개장 이후 신항 안정화를 이유로 BPT에 기존 북항 선석 조정을 요구하자 BPT는 “터무니 없는 요구”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우선 협상이 결렬될 경우 BPT는 지난해 진행한 북항 운영사 통합까지 무효화 할 방침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우선협상대상자인 BPT
기존 북항 선석 일부 반납 등
부산항만공사 요구에 반발
10차례 협상에도 이견 못 좁혀

‘서컨’ 개장 후 신항 안정화
북항 운영사 통합도 ‘빨간불’



■“북항 물량 신항으로”에 이견

BPA와 BPT 등에 따르면 지난 1월 말부터 양측은 ‘서컨 개장 준비협의회’를 구성해 협상을 진행해 왔다. 약 10차례 진행된 회의에서 서컨 물동량 확보 방안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BPA는 BPT에 안정적인 물동량 확보를 위해 BPT가 기존 운영 중인 북항 신선대·감만부두 물량 100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서컨으로 옮길 것을 요구했다. 100만TEU는 현재 BPT가 한 해 북항에서 처리하는 물량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양이다. BPT가 반대 의사를 강하게 밝히자 협상은 선석 조정으로 선회했다. BPA는 신항 개장에 따른 북항 수요 감소가 필연적인 만큼 BPT가 운영 중인 신선대·감만부두 8개 선석 중 2개 선석을 반납하는 안을 제안했다.

BPA 관계자는 “서컨 안정화 차원에서 자사 운영 부두 물량을 옮겨와 개장 초기 적자 보전이 BPT 입장에서도 필요할 것”이라며 “신항 개장 후 물량이 빠질 텐데 선석을 유지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BPT 측은 BPA의 논리가 비현실적이라고 반박한다. 인트라아시아 선사 중심인 북항 물량이 원양 중심의 신항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고, 서컨 계약과 북항 부두 운영은 엄연히 별개 사안이어서 북항 선석 조정은 무리한 요구라는 것이다. BPT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북항에서 신항으로 물량을 이전해야겠지만 이번 협상에서 우선협상자를 상대로 북항·신항 기능 재배치를 한 번에 해결하려 한다”며 “물량 배치는 전적으로 선사 판단이고 부두 노동자 고용 문제 등도 연계돼 이번 계약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BPA는 협상이 난항을 겪자 기존안에서 한발 물러나 ‘BPT의 북항 8개 선석 중 1개는 2022년 7월까지 사용한 뒤 반납하고, 서컨 개장에 따른 인력 문제 등을 향후 항운노조, 선사 등과 논의하자’는 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항과 서컨 개장을 연계한 선석·물동량 조정에 반대한 BPT 측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된다.



■북항 통합까지 물거품 되나?

BPA가 서컨 계약 과정에서 ‘북항 선석 조정’ 카드를 제시한 배경에는 2022년 이후 북항과 신항 기능 재편이라는 배경이 자리한다. BPT가 선석을 줄이면 2022년 계약이 만료되는 허치슨터미널이 들어갈 선석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2022년 6월 신항 2-4부두(민자)와 서컨이 연이어 개장하면 신항 운영사 간 물량 유치 경쟁으로 하역료 덤핑 현상이 벌어지는 현상도 일정 부분 막을 수 있다. BPA로선 북항에서 꼬여 있던 허치슨 문제를 해결하고, 신항 안정화까지 사전에 준비하는 일거양득 전략인 셈이다.

하지만 북항에서 연간 400만TEU 물량을 처리해온 BPT 입장에선 BPA 요구가 부담스럽다. 지난해 11월 동부부산컨테이너터미널(DPCT)과 통합으로 유휴 인력을 떠안았고, 북항 운영사 통합에 협조하고 반대급부로 서컨 운영권을 받았으나 돌아오는 건 신항으로 북항 기능을 이전하는 모양새가 됐기 때문이다. BPT는 사업계획서에서 HMM(옛 현대상선)을 기반으로 한 원양 물량 창출 계획을 제출했는데 BPA가 이를 불신하고, 북항 물량을 신항으로 옮기라는 것을 일종의 ‘갑질’로 인식한다.

BPA는 오는 20일을 협상 시한으로 제시했다. 만일 양측 협상이 결렬될 경우 BPA가 계획했던 서컨 개장도 안갯속에 빠진다. 업계에선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해운물류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섣불리 서컨 운영에 뛰어들 운영사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한다.

BPT는 서컨 계약이 무산되면 지난해 11월 통합 합의 후 아직 등기를 하지 않은 DPCT와의 통합까지 무효로 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협상 결렬 후폭풍이 만만찮을 것으로 예상된다.BPA 관계자는 “협상 시한이 남은 만큼 최대한 의견 차이를 좁히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