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썰물] 곱함의 ‘연대 공약’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이번 4·15 총선은 ‘실종의 선거’였다. ‘실종’이라고 한 것은 유권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은 정책이나 공약이 좀처럼 보이지 않았다는 얘기다. 수많은 사람이 국회의원 할 거라고 나섰지만, 유권자들의 기억에 남을 만한 정책 하나 제시하지 못했다는 것은 향후 정치권이 곱씹어 봐야 할 문제다.

물론 후보자 중에는 “우리는 좋은 정책을 내놓았다. 그렇지만, 이를 몰라준 건 유권자들이다”라며 오히려 반발할지 모른다. 하지만 이 또한 역으로 말하면, 그만큼 그들의 정책이 유권자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지 못했다는 방증일 터이다. 이런 아쉬움 속에서도 이번 총선에서 유의미한 움직임은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게 동래-금정(더불어민주당 후보), 동래-금정-연제(미래통합당 후보)처럼 온천천을 낀 선거구의 같은 당 후보끼리 내놓은 소위 온천천 관련 ‘연대 공약’이었다. 물론 다른 지역에서도 공동 공약 발표와 같은 연대 움직임이 있었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연대 공약은 기본적으로 정책의 공조와 연대, 그리고 확장을 내포한다. 선거구가 인접한 같은 당 후보끼리 주민 삶에 밀착해 실효성 있는 공동 또는 연대 공약을 내놓음으로써 유권자나 지역 주민들에게 관련 정책에 대해 좀 더 명확한 확신과 기대감을 심어 주겠다는 의도다.

이런 공약 공조와 연대는 예산 확보의 효율성은 물론, 정책의 추진력도 높일 수 있다. 또 정책이나 공약이 ‘씨줄과 날줄’처럼 횡과 종으로 펼쳐져 도시 전체로 보면 관련 정책을 더욱 견고하게 해 주는 효과도 있다. 물론 시너지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단순히 더함을 능가하는 곱함의 시너지 말이다.

연대 공약은 개발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특정 프로젝트나 문화·역사 관련 분야도 얼마든지 연대가 가능하다. 요컨대 선거구가 서로 다른 연제구의 연산동 고분군과 동래구의 동래 읍성을 연계한 ‘(가칭)부산의 뿌리길 추진’과 같은 형태의 공약 말이다. 부산의 뿌리 길을 배산이나 동래 고읍성까지 확장하면, 세 개 선거구(동래, 연제, 수영)를 묶는 연대 공약도 가능하다.

이번 총선에선 사실상 연대 공약의 맛만 살짝 봤다. 그래서 유권자 입장에서는 아쉽기도 하다. 향후엔 오롯이 지역성에 천착하는 이런 연대 공약들이 많이 나와주길 기대해 본다. 또 이게 확장돼 때론 다른 당끼리 연대하는 모습도 보고 싶다. 연대 공약이 도시를 더 살찌우고, 더 풍요롭게 할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이게 세상을 바꾸는 힘이다. 다시 한 걸음 더! 정달식 라이프부장 dosol@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