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상대를 바라본다는 것의 의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남석 문학평론가

코로나19 확산으로 대학들은 일제히 온라인 수업을 시행하고 있다. 본래 원격 강의는 다양한 이점을 지닌 강의 방식으로 선전되며, 코로나 사태 이전에도 대학에서는 꾸준히 권장되곤 했다. 출결 체크가 용이하고 과제물 수거가 편리하며 학생들이 구미에 맞게 수강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대학 입장에서는 수월하게 대단위 강좌를 편성하여 강의료 절감을 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강의가 전폭적으로 시행되지 않았던 이유는, 여기에 상당한 한계가 내재해 있기 때문이었다.

교육은 지식의 일방적인 전달로만 완수될 수 없는 특수 분야이다. 정보를 얻으려고만 한다면 인터넷 검색이 더 나을 수도 있고, 전공의 특수성을 배우고자 한다면 관련 서적을 읽는 방법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문자에 갇힌 ‘죽은 정보’를 습득하는 방식으로만 유효하다. 전달 방식을 동영상으로 바꾸어도 이러한 문제는 사라지지 않는다. 교육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할 생동하는 지식이 결여되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대학들 온라인 수업
편리성 등 장점 불구 한계도 뚜렷
교수자 일방적 시각만 전달 우려

교수는 학생보며 강의 방향 교정하고
학생은 지식 너머의 지식 배워야
교환되는 시선 통해 진정한 교육 완성


자기 생각을 타인에게 전달하고 타인의 상황을 파악하여 가르치기 위해서는 우선 상대의 눈을 응시할 필요가 있다. 교육에서 ‘본다는 것’은 단순하게 상황을 인지하는 행위를 넘어서, 상대(피교육자)가 처한 상황과 자신(강의자)이 해야 할 일을 쌍방 합의로 숙지하고 그 대책을 공동으로 마련한다는 의미까지 포함한다. 그러니까 교실에서 교수는 학생을 바라보며 강의 방향을 계속 교정할 필요가 있고, 학생들은 교수의 시선을 의식하면서 지식 너머의 지식을 배울 준비를 해야 할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교육 현장에서는 어떠한 학생도 같지 않다. 개개의 학생은 모두 다르고 1년이 지나면 또 다른 학생들이 등장하곤 한다. 교수들은 이렇게 변화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수업을 해야 하는데, 효과적으로 그 수업을 마련하는 첫 번째 방안이 학생을 쳐다보는 일이다. 그들이 무엇을 원하고 그들에게 무엇을 해 주어야 하는지는, 그들을 바라볼 수 있을 때 확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화되는 상황에 맞게 가르치는 방법과 그 내용을 변화시켜야 한다. 그러니 미리 촬영해서 틀어주는 강의는 근본적인 결함을 안고 있을 수밖에 없다.

실시간 화상 강의라고 해서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학생들은 실시간 강의를 여분의 시간 정도로 간주하기 일쑤이다. 크고 작은 기술적인 사고나 실수는 차치한다 해도, 안일한 온라인 강의는 교육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도록 만들고, 대학 수업을 하찮게 여기도록 만드는 부작용을 낳을 우려를 증폭시킨다.

신중했어야 할 온라인 강의 도입이 코로나 확산으로 대책 없이 교육 일선으로 확산하고 말았다. 비용 절감과 능률 제고를 핑계로 이 방식은 더 확산할 조짐마저 보인다. 하지만 코로나 19가 진정된 이후에는 반드시 이 문제를 심각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진정한 교육은 눈을 낮추어 상대방을 바라보는 방식에서 시작되어, 궁극적으로는 그들의 눈높이를 끌어올려 더 넓은 세상을 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일로 이어진다. 그 과정에서 교수자의 일방적인 시각만 번뜩이는 교육은 재고되어야 한다. 강의실에서 눈을 마주 보는 일은, 그 교육을 지식 전달 이상일 수 있도록 만드는 첫걸음이기 때문이다. 학생의 눈을 마주하고 그들에게 맹목적인 지식 외에 반드시 가르쳐야 할 무언가를 담아내고자 할 때, 교환되는 시선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고 그 안에 삶의 지혜도 함께 전달할 때, 교육의 숨은 의미는 비로소 완수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가 가져올 달라진 세상 속에서는 이러한 교육이 강도 높게 요구되지 않을 수 없다. 죽은 지식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이미 충분히 알아버린 후가 될 테니 말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