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실직에 구직 포기 속출… '고용 안정'에 국가 역량 모아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난달부터 코로나19 감염 사태로 인한 ‘고용 충격’이 현실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일할 능력이 있으나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 일하지 않는 사람이 236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36만 6000명(18.3%)이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구직활동 계획이 없어서 그냥 쉬었다”고 응답한 사람들로서 통계 작성 후 최대 수준이란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이들은 통계상 실업자로도 분류되지 않는 데다 향후 실업상태로 전락하거나 아예 구직을 포기할 가능성이 큰 잠재적 실업자이기 때문에 일자리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게다가 이 같은 인구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층에서 가장 많이 늘어나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달 “그냥 쉬었다”는 20대 인구는 41만 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만 9000명(35.8%)이나 증가했다. 40만 명을 넘어서고, 증가폭이 10만 명을 넘긴 것도 모두 처음이어서 충격적이다. 젊은 층을 위한 취업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대목이다.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지만, 지난달 일자리 구하기를 포기한 구직 단념자도 1년 전에 비해 4만 4000명이 증가한 58만 2000명으로, 지난해 2월 58만 3000명 이후 가장 많았다. 이 같은 구직 단념자는 7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것으로, 취업이 그만큼 어려운 상황임을 의미한다.

청년층 자발적 실직 많아 대책 절실
경제주체들 일자리 창출에 합심해야

이는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 두기가 전국적으로 여전히 엄격하게 시행되면서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매출이 급감하고 관련 일자리마저 크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 때문으로 보인다. 더욱이 임시·일용직과 영세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은 직격탄을 맞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5월보다 국내 경제사정이 더 어렵다는 이야기도 심심찮게 들려올 정도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이번 주 초께 고용안정 종합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4·15 총선 이후 최대 국가 과제가 경제위기 극복이며, 특히 고용 안정이라는 것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참으로 고무적이다.

이제는 고용 충격의 위기를 잘 극복하기 위해 국가적인 역량을 모아야 할 시점이다. 실직자에 대한 긴급지원뿐 아니라 고용 유지와 신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경제 살리기의 시작도 끝도 일자리 창출”이라고 강조하고 있어 다행스럽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정부 대응만으론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경제주체들 간 상생과 고통 분담의 노력이 요구되고, 기업들은 무엇보다 고용 안정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동계도 노사 화합과 단결을 통해 일자리 지키는 일에 협조를 아끼지 말아야 할 때다.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는 것은 물론 코로나19 사태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이젠 모든 경제주체가 힘을 모을 일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