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동 걸린 해운 특송장, 부산을 전자상거래 물류 허브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시가 해운 물류 시장의 블루오션으로 꼽히는 ‘해외 직구’ 시장 개척을 위해 해운 특송장 설립 연구 용역에 착수했다. 인천본부세관 특송물류센터에 쌓인 통관 대기 물품. 연합뉴스

속보=해외 직구 열풍 등으로 신흥 물류 허브로 떠오르는 특송장 부산 유치(부산일보 1월 26일 자 5면 등 보도)에 부산시가 발벗고 나섰다. 부산연구원은 긴급 현안과제로 특송장 유치를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시는 관세청과 협의해 빠른 시일안에 특송장 유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해외 직구 수요 흡수, 부산 유치 팔 걷어
시·부산연구원 긴급 현안과제 연구 착수
우암부두·용당세관 등 적정 입지 물색
추후 관세청과 예산 확보 방안 논의키로

부산시는 “지난달 부산연구원이 현안과제로 특송장 유치 연구에 착수했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지난달 현안과제로 ‘부산항, 해상 특송장 및 글로벌 전자상거래 물류센터 도입방안’ 연구를 부산연구원에 의뢰했다. 연구는 부산연구원 시민행복연구본부 장하용 연구위원이 맡는다. 부산시와 부산연구원은 정기적으로 현안과제 발굴을 위해 간담회를 진행해왔고 지난달 간담회 자리에서 특송장 관련 연구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 자리에서 오거돈 부산시장은 “최대한 빨리 특송장 도입 방안을 마련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는 코로나19로 항공 화물이 제 기능을 못하는 현 시점이 해운 화물업계에는 ‘기회’라고 보고 현안과제 연구를 발주했다. 전자상거래 물동량 95%가 지금까지는 항공편으로 수송됐으나, 항공편 운송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해운 물류 인프라가 발달한 부산이 전자상거래 특송 물동량을 적극 유치해야 한다는 의미다.

부산연구원의 연구 과제 중 중심 과제는 특송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에 특송장이 생기면 수입 측면에서 영남권과 충청 이남 남부권 소비자는 더 빨리 물품을 배송받을 수 있게 된다. 현재 전국적으로 특송장은 인천·평택에만 있어 남부 물량도 통관 절차를 위해 수도권을 거쳐야 한다.수출 측면에서도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진 부산항에 수출 특송 화물이 모이고, 재포장이나 가공 등 부가 물류서비스도 창출할 수 있다.

시와 장 연구위원팀은 지난해 12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가 용역을 진행한 부산 특송장 설립 타당성 용역을 근거로 시 차원에서 타당성 검토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당시 용역 결과 비용 대비 편익분석(B/C)값은 2.7로 타당성이 높다는 결론이 나왔다. 당시 용역에서는 특송장 적정 부지로 우암부두 해양클러스터를 꼽았다. 부산항에 들어오는 특송화물을 물리적으로 가장 가깝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특송장 부지로 현재 해양클러스터 개발이 진행 중인 우암부두가 적합하다는 결론이었다.

부산시와 장 연구위원팀은 특송장 설립이 시급한 만큼 우암부두를 포함해 국제여객터미널 등 올해 내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부지를 물색하는 과정도 연구 내용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시는 최근 부산항만공사와 국제여객터미널 활용 방안을 비공식적으로 타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장 연구위원팀의 현안과제 연구가 끝나는대로 관세청 등과 공식화된 특송장 설립을 위한 예산 확보 방안 등 실무 논의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연구원 장하용 연구위원은 “특송장 설립이 해상화물 수요를 창출하고 해상 화물 수요 창출은 부산을 해상화물 허브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연구과정에서 특송장 최적지로 거론된 용당세관을 포함해 특송장 설립 당위성, 적정 부지까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