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당 진로, 부산 당선인은] 현역 중진들 “조기 전대”… 초선들 “비대위 체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참패한 뒤 당 수습방안에 대한 이견으로 미래통합당이 혼란을 겪고 있다. 21일 국회 미래통합당 대회의실에 ‘국민 뜻 겸허히 받들어 다시 시작하겠습니다’라는 문구가 붙어 있다. 연합뉴스

4·15총선 참패 이후 미래통합당이 당의 진로를 놓고 ‘백가쟁명’의 혼돈 상황에 빠졌다. 이에 따라 붕괴 직전인 당 지도부는 21일 현역 의원들과 21대 총선 당선인들을 상대로 당 수습 방안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총선 당선인 84명 중 56명(67%)에 달하는 영남권 당선인들의 목소리가 당의 향배를 사실상 결정하게 됐다.

<부산일보>가 이날 통합당 부산 당선인(15명)을 대상으로 당 수습책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통해 전면적인 당 쇄신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과 조기 전당대회를 통해 지도부를 일신하는 게 우선이라는 입장이 팽팽하게 갈렸다.

조경태·김도읍, 비대위 불신
이주환·백종헌·박수영 ‘동조’

김희곤·전봉민, 조기 전대 반대
서병수 “비대위 필요한 시점”

하태경 등 ‘비대위+전대’ 절충안

특징적인 것은 현역 의원들이 비대위에 대한 거부감이 강하다는 점이다. 당 최고위원 중 유일하게 ‘생환’한 5선의 조경태(사하을) 당선인은 “(자유한국당 이전 시절부터)비대위 많이 했고, 그때마다 혁신·쇄신 이런 말 많이 했지만, 크게 달라진 게 있느냐”며 “스스로 해결하려는 노력, 자립심을 길러야 하지 않겠느냐”고 비대위 체제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그는 “원래 8월로 전당대회가 당헌·당규상 나와 있는데, 한두 달 앞당겨서 (6∼7월에)해도 크게 무리하지 않다”고 조기전대론을 주장하고 있다.

3선의 김도읍(북강서을) 당선인 역시 “비대위에 들어오는 분들은 원내 상황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져 결국 ‘관리형’이 될 수밖에 없는데, 이걸 넘어서 뭘 해 보겠다고 하면 항상 말들이 많았다”며 “비대위원장 구하기 위해 설왕설래 하느라 시간만 낭비할 뿐”이라고 말했다. 그 역시 “관리형 원내대표를 빨리 뽑아서 대표 권한대행을 하면서 전대를 최대한 빨리 여는 게 맞다”고 말했다.

초선 중에도 비대위에 대한 회의론이 적지 않았다. 이주환(연제) 당선인은 “외부에서 당을 좌지우지하게 만들려면 정당 정치는 뭐하려고 하느냐”고 밝혔고, 박수영(남갑) 당선인도 일각의 김종인 비대위원장 추대 움직임에 대해 “김 위원장은 선대본부장으로서 선거 패배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한 거부감을 보이면서 역시 조기전대에 힘을 실었다. 백종헌(금정) 당선인도 조기전대를 지지했다.

반면 당이 국민들로부터 총체적 불신임을 당한 상황에서 조기전대는 실망만 가중시킨다는 반론도 초선들을 중심으로 제기됐다.

김희곤(동래) 당선인은 “그 사람이 그 사람인 지금 상황에서 전대를 하면 국민들 눈엔 ‘자리 싸움’으로밖에 안 보인다”며 “비대위로 가야 하며, 비대위가 새 인물을 수혈하고, 당 체제도 바로잡을 수 있도록 연말까지라도 충분히 시간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비대위원장감으로 이번 총선에서 낙선한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지목해 눈길을 끌었다.

전봉민(수영) 당선인 역시 “전당대회를 열어 갈등 분열하는 모습은 ‘반성하라’는 총선 민의를 거스르고, 자중지란에 빠져드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황보승희(중영도) 당선인은 “외부의 시각, 국민의 시선으로 당을 변화시켜야 한다. 당 체질 개선을 위해서는 기한을 정하지 않은 채 비대위에 충분한 활동을 보장해야 한다”고 비대위 체제를 지지했다.

특히 이번에 5선으로 원내 복귀에 성공하면서 부산 통합당의 ‘좌장’격이 된 서병수(부산진갑) 당선인은 “지금이야말로 비대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 총선을 포함 4번의 선거에서 패배한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이 무엇인지 찾는 데 비대위 역할이 있다”면서 “지금 당이 지도체제를 빨리 갖춰야 할 긴요한 일이 있다고 생각지 않는다”고 조기 전대론를 반박했다. 비대위 체제 도입을 언급한 네 당선인은 ‘김종인 비대위원장’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비대위로 가되, 전대를 준비하는 역할로 국한돼야 한다는 절충안도 제시됐다.

3선의 하태경(해운대갑) 당선인은 “어차피 전대를 하더라도 빨라야 7~8월이기 때문에 짧게라도 비대위로 갈 수밖에 없다”며 “비대위원장은 내부든 외부든 전당대회의 중립성을 담보할 수 있는 인사면 된다”고 말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 영입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이 대선 후보로 나올 것도 아니고, 그나마 제일 낫지 않으냐”고 반응했다.

안병길(서동) 당선인은 “지도부를 다시 구성해서 가는 게 맞다”고 전제하면서도 “그 이전에 비대위를 통해 철저한 패인 분석과 참패에 대한 진솔한 대국민 사과를 하는 게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고, 김미애(해운대을) 당선인은 “지금 전당대회를 할 만큼 당이 안정돼 있지 않다”며 짧은 비대위 활동 직후 전대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들 당선인 대부분은 총선 패배 이후 당 일각에서 부상하고 있는 ‘30·40 전면배치론’에 대해서도 취지는 공감하나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시각을 보였다. 현역 의원 중 젊은 지지층이 두꺼운 하태경 당선인은 “생물학적으로 젊은 정치인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젊은 층의 지지를 많이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등용돼야 한다”고 말했고, 3선의 이헌승(부산진을) 당선인은 “지금은 혁신하는 모습으로 비칠지 몰라도 기존 중진들의 반발 또는 소외로 또 다른 갈등을 부를 수 있다”고 말했다. 박수영 당선인은 “3040 대신 50대 기수론이 맞다”고 했다. 반면 정동만(기장) 당선인은 “젊은 사람을 내세워야 한다는 데 절대 공감한다”면서 “지방의회에서 단련된 인재 등 자질이 우수한 젊은 정치인을 잘 선별하는 게 중요하다”고 답했다. 정치부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