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권력 교체기에 “PK 인사가 안 보인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그 어디에도 PK는 없다.”

이달부터 대규모 권력교체기에 돌입했지만 부산·울산·경남(PK)은 심각할 정도로 소외되고 있다.

31일 청와대 비서진 개편을 시작으로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 출범(1일), 21대 국회 원구성(이달 중), 더불어민주당 지도부 선출(8월 29일) 등 매머드급 권력교체가 본격화하고 있다. 이처럼 청와대와 정치권의 주요 권력이 동시에 바뀌는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하지만 그 어디에도 PK 인사는 보이지 않는다. 지역 정치권의 무능과 주요 권력의 PK 홀대가 낳은 총체적인 ‘부·울·경 패싱’이다.

靑 비서진 개편·국회 원구성 등
정치권 권력 변화 본격화 불구
부울경 출신 요직 배제 분위기
‘지역 인사들 무능·PK 홀대’ 탓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7명의 청와대 비서관을 한꺼번에 임명했지만 PK 출신은 1명도 없다. 4·15 총선에서 낙마한 더불어민주당 PK 출마자들이 입각이나 공기업 임원 진출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지만, 청와대는 “당분간 개각은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1일 출범하는 통합당 비대위에도 PK 출신은 전무한 실정이다. 초선인 김미애 의원이 비대위원으로 합류해 있지만 PK 대표성은 없고, 사무총장·비서실장·대변인 등 요직에도 부·울·경 출신들은 배제되는 분위기이다.

머잖아 마무리될 21대 국회 원구성 과정에서도 PK는 빠져 있다. 국회의장과 2명의 부의장은 모두 충청도 출신들로 채워져 있다. PK 최다선인 서병수·조경태 의원은 아예 국회부의장 출마 자체를 거부했다. 국회부의장은 지역 현안과 국비를 챙기는데 상당히 도움이 되는 자리이다.

원구성 협상의 주역인 여야 원내대표단에도 부·울·경 출신은 없다. 고작 통합당 원내부대표에 최형두·이주환 등 PK 출신 2명이 포함돼 있다. 이 때문에 상임위원장과 상임위 배분 과정에서 PK 출신들이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벌써부터 주요 상임위원장에 PK 배제설이 나돈다

국회 의장단과 원내대표단에 PK 출신들이 배제되자 “4·15 총선에서 통합당에 승리를 안겨준 PK 민심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난이 쏟아진다.

민주당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민주당 PK 정치권을 대표하는 유력 인사들이 8월 당권경쟁에 적극 참여하지 않고 있다. 지난달 29일 자로 국회의원의 임기를 마친 김영춘 전 의원과 이번 총선을 통해 PK에 안착한 김두관 의원이 당사자들이다. 두 사람은 당대표 선거에 소극적이다.

호남 출신인 이낙연 전 총리와 TK(대구·경북)의 김부겸 전 의원이 당 대표 출마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과 대조적이다.

김두관 의원은 당권 경쟁에 나서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고, 김영춘 전 의원도 국회 사무총장(장관급)에 유력해지면서 당 대표 출마가 힘든 실정이다. 김 전 의원은 일찌감치 “영남권을 대표해 김부겸 의원이 당 대표로 나서주길 공개 제안한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통합당 PK 정치권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서병수·조경태·장제원 의원 등이 차기 당대표 출마를 기정사실화하고 있지만 후보 단일화가 쉽지 않은 형편이고, PK 출신 유력 주자인 김태호 의원의 복당은 언제 이뤄질지도 모른다. 통합당 내부에선 “선별 복당을 통해 김 의원을 서둘러 입당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많지만 ‘김종인 비대위’의 수용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자칫 차기 통합당 지도부에서 PK가 제외될 수도 있다.

정부·청와대·정당 등에 PK 출신들의 포진 여부는 지역 발전과 직결된다. 본인의 의도와 무관하게 PK 출신들이 요직에 대거 진출해야 하는 이유다. 그런 요구를 감당하거나 수용하지 못하는 인사는 ‘PK 대표주자’라는 꼬리표를 붙여 주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