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중 산소로 충전되는 차세대 배터리용 에너지 저장 소재 개발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KAIST·숙명여대 공동연구팀, 리튬-공기 전지용 촉매 개발
"나노 이하 원자 수준에서 촉매 제어 성공"

 

금속-유기 구조체를 통과한 물이 원자 수준의 촉매를 기공 내에서 생성하고 안정화하는 과정(개략도). KAIST 제공 금속-유기 구조체를 통과한 물이 원자 수준의 촉매를 기공 내에서 생성하고 안정화하는 과정(개략도). KAIST 제공
금속-유기 구조체로부터 생성된 촉매가 기공 내에 안정화하는 과정(개략도). KAIST 제공 금속-유기 구조체로부터 생성된 촉매가 기공 내에 안정화하는 과정(개략도). KAIST 제공

공기 중 산소로 충전되는 차세대 리튬 공기 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촉매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강정구 교수와 숙명여대 최경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의 원자 수준에서 리튬 공기 전지용 촉매를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리튬 공기 전지는 공기 중 산소와 결합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다.

리튬 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를 최대 10배까지 높일 수 있어 차세대 대용량 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 효율이 낮고 충·방전이 반복되면 수명이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전극에 촉매를 도입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촉매가 1 나노미터 이하로 작아지면 서로 뭉치면서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강정구 교수, 최경민 교수, 최원호 박사과정(이상 왼쪽부터). KAIST 제공 강정구 교수, 최경민 교수, 최원호 박사과정(이상 왼쪽부터). KAIST 제공

연구팀은 나노미터 이하 원자 수준에서 촉매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해 촉매를 안정적으로 격리하는 데 성공했다.

무수히 많은 구멍이 뚫려 있는 금속 유기 구조체(MOF)의 기공에 코발트 수산화물 촉매를 가둬 뭉침 현상을 방지했다.

그 결과 리튬 공기 전지의 수명을 기존의 3배 정도로 늘릴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지난달 6일 자에 실렸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