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지역 조선기자재 업계에 5조 원 일감 ‘단비’

김종열 기자 bell10@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내 조선 3사가 23조 6000억 원 규모의 카타르 액화천연가스(LNG)선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부산 조선기자재업계도 5조 원 상당의 낙수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일 열린 서울과 카타르 간 화상 협약식 장면(왼쪽)과 조선 3사 중 한 곳인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 운반선. 삼성중공업 제공 국내 조선 3사가 23조 6000억 원 규모의 카타르 액화천연가스(LNG)선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부산 조선기자재업계도 5조 원 상당의 낙수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일 열린 서울과 카타르 간 화상 협약식 장면(왼쪽)과 조선 3사 중 한 곳인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 운반선. 삼성중공업 제공

한국 조선업체들의 카타르 액화천연가스(LNG)선 프로젝트 계약(부산일보 3일 자 1면 등 보도)과 관련, 부산 조선기자재업계에 5조 원 상당의 경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그 효과가 이르면 오는 2022년말께부터나 나타날 것으로 전망돼, 내년부터 예상되는 약 2년 정도의 ‘일감 보릿고개’는 여전히 숙제로 남겨졌다.


23조 원 카타르 LNG선 계약

지역 업계 1년 매출 이상 효과

기자재 발주는 2022년 이후

‘버티기’ 위해 정부 지원 절실



■총 사업비의 25%, 5조 원의 낙수효과

부산의 조선기자재업계는 지난 1일 체결된 ‘카타르 쾌거’의 총 사업비 23조 6000억 원 중 20~25%가 부산 조선기자재업계에 낙수효과로 이어질 것으로내다봤다. LNG선의 경우 총 사업비 중 기자재 비율이 60% 정도이며, 부산의 조선기자재업계는 총 사업비 중 20~25% 상당을 소화한다는 것이다.

부산조선해양기자재협동조합(이하 기자재조합) 관계자는 “기존 LNG선 건조 사례를 바탕으로 엔진·강재·철의장 등 부산 기자재업계가 잘 취급하지 않는 기자재를 제외하고 부산 업계가 주로 조선소에서 수주했던 물량만을 고려해 볼 때, 전체 사업비의 20~25% 상당이 부산 업계에 낙수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일 카타르 국영석유사인 카타르 페트롤리엄(QP)과 국내 조선 3사(현대중공업·대우조선·삼성중공업)는 LNG선 건조를 위해 3개 조선사의 건조 공간 확보 계약을 체결했다.

선박 건조 공간 확보 계약은 통상적으로 정식 발주로 이어진다. QP는 2027년까지 3개 조선사를 통해 100척 상당의 LNG선을 건조할 것으로 보인다. 총 사업비 23조 6000억 원에 이르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이 중 20~25%가 부산 조선기자재업계에 낙수효과로 이어진다면, 약 5조 원 상당의 매출 효과를 보게 되는 셈이다.


■효과 때까지 최대 2년 ‘보릿고개’

최근 수년간 조선기자재업계의 연간 매출은 3조 원 초·중반대에 머물렀다. 더구나 코로나19의 여파 등으로 내년부터는 일감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5조 원의 매출 효과는 수년에 걸쳐 발생할 효과이기는 하지만, 최근 조선기자재업계의 한 해 매출을 훌쩍 넘는 것으로 업계에는 ‘단비’와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이번 효과가 당장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이르면 오는 2022년 말께부터 나타난다는 점에서, 여전히 2년간의 ‘일감 부족’은 업계의 과제로 남았다. 기자재조합 관계자는 “업계 예상에 따르면 2024년께나 최초 선박이 QP에 인도돼 2027년에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한 일정대로라면 2022년 말께나 2024년 인도될 선박의 기자재 발주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소 낙관적인 전망도 있다. 이번 대규모 수주가 기폭제가 되어 다른 선박의 수주도 앞당겨질 것이라는 의견이다. 이번 대규모 계약으로 2023년 이후 국내 조선사의 독(dock)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 선박 건조를 계획하고 있는 또 다른 글로벌 선주들이 계획을 앞당길 수도 있다는 해석이다. 기자재조합 관계자는 “낙관적인 전망에 불과하지만, 그렇게 된다면 당초 예상과는 달리 내년 말이나 2022년 초반에 물량이 늘 수도 있다”며 “그럴 경우 내년 한 해 정도만 잘 넘기면 부산의 조선기자재업계도 위기를 탈출하게 되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일감 확보·금융 지원” 정부에 요청

기자재조합은 짧게는 1년에서 길게는 2년까지 이어질 ‘일감 보릿고개’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2일 산업통상자원부를 방문해 정부 차원의 정책 마련과 지원을 요청했다.

기자재조합은 우선 일감 확보를 위해 한국가스공사에서 용선 중인 국적 LNG선 29척 중 20년 이상 노후된 15척을 대체할 배를 조기 발주해 줄 것을 건의했다. 선령 20년이 넘은 해양수산부 관공선 14척 등 정부 소유의 노후 관공선 조기폐선과 조기발주도 함께 요구했다. 그 외에도 수주·매출 감소로 자금의 유동성 위기가 우려되며, 이를 해소를 위한 금융지원도 요청했다.

기자재조합 관계자는 “정부가 이상의 요구를 정책에 반영해 준다면 최소 내년 상반기 물량 부족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카타르 대규모 계약으로 1~2년만 버티면 다시 업계가 회복할 수 있는 희망이 생긴 만큼, 정부과 업계가 함께 노력해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김종열 기자 bell10@busan.com


김종열 기자 bell1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