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폐물 처리에 月 수백만 원 지역 매립장 신설 서둘러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지역 산업폐기물 매립장이 곧 포화 상태에 이른다. 연일 폐기물은 쏟아지는데 수용할 공간이 없다 보니 폐기물 처리 비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부산시가 지역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하루빨리 폐기물 처리장을 신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산업폐기물은 사업장생활계폐기물,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건설폐기물, 지정폐기물을 뜻한다. 9일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부산 지역에서 이들 산업폐기물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부산의 하루 산업폐기물 발생량은 2016년 1만 9184t에서 2017년 1만 9732t, 2018년 2만 909t으로 늘었다. 이 중 재활용하지 못해 매립해야 하는 산업폐기물은 매년 44만t 수준이었다.

매년 44만t 매립 폐기물 쏟아져
부산 단 1곳, 처리비용 3배 급증
코로나 사태 겹쳐 제조업계 시름
경주 ‘원정 처리’ 물류비 부담도
“지역기업 경쟁력 확보 필수 시설
市 적극 나서 신설 부지 찾아야”

문제는 이를 소화할 산업폐기물 매립장이 부산에 단 1곳밖에 없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처리 비용이 널뛰면서 지역 제조업계의 시름이 깊다. 부산 기장군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동부산에 있던 산업폐기물 매립장 ‘NC부산’이 2018년 문을 닫은 뒤 처리 비용이 2~3배 급증했다. 가뜩이나 코로나 사태로 경기가 어려운데 폐기물 처리 비용만 한 달에 수백만 원에 달해 인건비도 맞춰 주기 어려울 지경”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는 처리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아예 경주에 있는 처리장과 거래를 하고 있다.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에 물류비까지 추가로 감당하는 셈이다. 그는 “경주에 있는 처리장을 이용하는데 25t 트럭 한 대 부르면 총 40만 원이 든다. 그나마 경주 처리장도 2~3개월 뒤 포화 상태라고 한다. 그때는 도대체 어디에다 폐기물 처리를 맡겨야 할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부산시는 산업폐기물 처리장 신설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 처리 시설이 대표적인 주민 ‘혐오시설’로 꼽히는 탓이다. 또 폐기물 처리 시설을 만들기 위해서는 현행법상 침출수 처리, 악취 방지, 사후 처리 방안 등 까다로운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주거·상업 시설이 밀집한 도심지에 사실상 건설이 불가능하다.

이에 부산에서는 강서구와 기장군이 신설 매립장 후보지로 꼽힌다. 여기서도 지역 주민의 반발이 만만찮다. 실제로 2013년과 2014년, 2017년 기장군에 추가 산업폐기물 매립장 조성 사업이 추진됐지만 쏟아지는 민원에 번번이 무산됐다. 부산시 관계자는 “폐기물 매립지가 자신의 주거지 인근에 들어오는 것을 반기는 사람이 없다 보니, 그동안 시설 설치와 유지에 어려움을 겪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산업폐기물 매립장이 포화에 직면하면서 부산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매립장을 신설해야 한다는 지적이 강하게 제기된다. 부산대 환경공학과 오광중 교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비용이 급증해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상황이 되면 부산 지역 기업의 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지역 경제를 위해 산업폐기물 처리장은 반드시 필요한데, 지금도 골든타임을 놓쳤다. 실버타임이라도 잡기 위해서는 주민과 민·관 관계자들이 산업폐기물 매립장 입지검토위원회를 꾸려 합의점을 찾아 신설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배·서유리 기자 sang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