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당 ‘경선 룰’, 내년 부산시장 보선 최대 변수 되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3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렸지만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불참해 좌석이 비어 있다. 연합뉴스

내년 4월 치러지는 부산시장 보궐선거 구도가 아직 짜이지 않았지만 지역 정가에서는 미래통합당 내부의 ‘예선’ 경쟁이 사실상 ‘본선’보다 치열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럴 경우 통합당 후보자 결정 방식, 즉 ‘경선 룰’에 따라 차기 부산시장이 결정될 수 있다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온다.

23일 현재 통합당 당헌·당규는 지방선거 시·도지사 경선에서 선거인단 유효투표 결과 50%, 여론조사 결과 50%를 반영해 후보를 결정하는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선거인단은 책임당원이다. 해당 방식은 여론조사 응답률이 낮은 최근 선거 양상을 고려할 때, 경선 승리 관건이 사실상 책임당원 확보에 달렸다. 당 조직에서 우위에 있는 사람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의미다.

책임당원 투표·여론조사 반영
이진복, 활용 가능 당 조직 우위
유재중, 조직 정비·당 보폭 확대
전략공천·경선 방식 변경도 변수

최근 자천타천으로 후보군에 올라있는 이진복·유재중·김세연·박민식·이언주 전 의원 등을 놓고 볼 때, 지금의 경선 룰이 그대로 적용된다면 이진복 전 의원이 가장 앞서있다는 평가가 당 안팎에서 나오는 이유도 경선 방식과 연관이 깊다.

지역 중진 의원은 “부산시당 정서를 고려할 때 이진복 전 의원은 일단 적이 없고, 원만하다는 평가가 대체적인 데다가 활용할 수 있는 당 조직도 가장 앞서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강경’ 보수로 꼽히는 이언주 전 의원의 경우 당내에서도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만큼, ‘당심’이 작동하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지역 활동을 오랫동안 유지한 후보들과 좁힐 수 없는 격차가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현행 방식에서 여성 정치인에게 주어지는 가산점이 이 전 의원에게 큰 자산이 될 수 있다. 통합당은 현재 득표율의 20%를 여성 가산점으로 줄 수 있다.

유재중 전 의원은 최근 출마의사를 굳히고 적극적으로 조직을 확대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국회의원과 구청장을 지낸 수영구를 중심으로 조직을 다지고 당내 인사들을 만나 출마 의지를 내비치면서 선거인단 투표와 여론조사에 대비한 전략을 구상 중이다.

김세연 전 의원의 경우 인지도가 높아 여론조사 결과는 긍정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당과 대립각을 강도높게 세워왔다는 점에서 책임당원들의 선거인단 표심은 우호적이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전략공천도 있을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출신의 오거돈 전 시장 ‘성 추문’에 따른 보궐선거라는 점에서 통합당 비대위가 전략적으로 단수 공천을 결심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현재 민주당에서는 후보 공천을 하지 말자는 의견도 나오는 상황이다.

앞선 2018년 6·13 선거에서도 현직 시장이던 서병수 의원이 새누리당(통합당 전신) 후보로 단수 공천된 바 있다. 다만 당시에는 다른 후보들의 경쟁력이 서 의원에 비해 크게 낮았던 반면, 이번에는 후보군만 10명에 달하는 등 경쟁이 과열 양상이라 전략 공천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점쳐진다.

경선 방식 변경도 ‘열린’ 변수다. 코로나19로 정치권에서도 ‘언택트’(비대면) 바람이 부는 만큼, 선거인단 직접 투표 대신 모바일 투표 경선 혹은 100% 여론조사 방식도 전격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경선 룰을 비교적 탄력적으로 운용되는 추세다.

통합당의 부산시장 경선도 2014년에는 ‘2·3·3·2룰’(대의원·책임당원 20%, 일반당원 30%, 국민선거인단 30%, 여론조사 20%)이 적용됐지만, 2018년에는 현재의 ‘50 대 50’ 방식이 당규였다.

2014년 선거에 나섰던 권철현 전 주일대사는 당시 여론조사 50% 확대를 주장했지만,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경선에서 서병수 후보에게 고배를 마셨다. 가정법이지만, 그때 룰이 현재와 같았다면 상대적으로 조직에서 열세였지만, 인지도에서 우세했던 권 전 대사가 전혀 다른 결과를 만들 수도 있었다는 게 지역 정가의 평가였다.

이에 따라 내년 부산시장 자리를 차지하려는 후보자들의 ‘게임의 법칙’을 둘러싼 물밑 경쟁이 조만간 지역 정치권의 최대 이슈로 급부상할 공산이 크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