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전까지 해외서 청정수소 도입 추진한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정부, 30개 기업·기관과 공급망 구축 시작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3일 오후 2시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MOU 체결식’에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 조용성 에너지경제연구원장,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장, 임춘택 에너지기술평가원장, 김창섭 에너지공단 이사장, 이성근 대우조성해양 사장, 유수경 두산퓨얼셀 대표, 남준우 삼성중공업 대표,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을 비롯한 참여기업 CEO 및 국책연구기관장, 에너지 공기업 대표 등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했다. 산업부 제공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3일 오후 2시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MOU 체결식’에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 조용성 에너지경제연구원장,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장, 임춘택 에너지기술평가원장, 김창섭 에너지공단 이사장, 이성근 대우조성해양 사장, 유수경 두산퓨얼셀 대표, 남준우 삼성중공업 대표,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을 비롯한 참여기업 CEO 및 국책연구기관장, 에너지 공기업 대표 등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했다. 산업부 제공

정부가 10년 내 해외에서 청정수소(그린수소)를 들여오기 위해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30개 기업·기관과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협약에 참여한 곳은 한국가스공사, 한국전력 등 공기업 5곳,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준정부·연구기관 6곳,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두산퓨얼셀, 소융합얼라이언스, 한국선급 등이다.

정부는 지난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과 6개 분야별 세부 추진 계획을 세워 이를 이행했다.

로드맵에 따라 그간 수소전기차, 수소충전소 확대 등 수소 수요를 늘리는 데 힘썼다면, 이제는 양질의 수소 공급도 늘려야 할 시점으로 보고 민관이 뜻을 모은 것이다.

정부는 수소전기차 등에 들어가는 연간 수송용 수소 수요량이 올해 4000t에서 2030년에는 37만t으로 늘어날 것으로 본다. 철강·화학 등 산업계에서 수소 활용이 늘어나면 수소 공급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현재 국내 수소는 석유화학 공정 부산물로 나오는 부생(副生) 수소와 천연가스(LNG)에서 뽑아내는 추출 수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부생 수소는 공급 여력에 한계가 있고,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얻는 청정수소를 해외에서 조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내 청정수소 생산능력과 기술적 한계를 고려할 때 2030년 이후 국내 수소 수요 중 최소 10~50%의 청정수소를 해외에서 조달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청정수소를 국내로 들여오려면 액화 수소 운반선, 인수기지, 항만 저장 탱크 등 막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현재 일본이 호주, 브루나이 등지에서 수소 도입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정부는 MOU를 통해 민관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정부 간 국제협력을 통해 사업 위험성을 줄이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을 직접 구축할 민간은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청정수소를 공급할 해외 후보군에 대해 6개월간 전문 컨설팅과 타당성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4~5년간 실증단계를 거쳐 민간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