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구미 페놀 유출사고로 발발 “지역 간 이해 조정, 이번엔 해결돼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물싸움’ 지자체 갈등의 역사

낙동강은 350만 부산시민과 191만 경남도민 등 영남 지역민에게 식수를 공급하는 ‘젖줄’이자 동시에 30년 가까이 지역 간 갈등을 야기해 온 ‘화약고’였다.

1991년 경북 구미산단의 페놀 유출 사고를 계기로 부산 등에서 안전한 식수 공급의 목소리가 나오면서, 낙동강 식수 공급을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1996년 정부는 부산지역 식수확보를 위해 합천댐 하류 49㎞ 지점에 광역취수장을 설치해 1일 100만t을 취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환경 훼손과 수질 악화 등을 우려한 합천 주민의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다. 1999년 7월 정부는 남강댐물·합천댐물·강변여과수 각각 50만t 등 총 150만t을 부산에 공급할 계획을 세웠고, 11월 지리산댐 추진 계획도 밝혔다. 하지만 역시 경남과 전북 지역의 거센 반발로 무산됐다.

2004년엔 1996년 계획을 수정해 합천댐과 문정댐 물을 부산과 동부경남에 보내는 계획도 세웠으나, 역시 서부경남 지역이 극렬 반대했다. 2008년 12월에도 남강댐 수위를 높여 낙동강 하류에 강변여과수를 개발해 광역상수도로 1일 142만t을 부산·경남에 공급하겠다는 계획이 나왔으나, 경남 지역에서 수량 부족을 이유로 일제히 반발했다. 낙동강 하류 창녕에 강변여과수를 개발해 1일 26만t을 부산에 공급한다는 2010년 계획도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결국 2018년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는 문재인 대통령 지시 뒤 정부와 낙동강 일대 지자체들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물관리 용역이 진행돼, 그 어느 때보다 낙동강 식수 갈등의 해결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준경 부산맑은물범시민대책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은 "부산과 경남이 먹는 물 때문에 30년간 갈등과 반목을 거듭해왔다. 이번에는 갈등의 고리를 끊고 상생의 길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백상 기자 k103@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