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건설업은 지역경제 실핏줄… 일감 더 늘어나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김세원 대한전문건설협회 부산시회 회장

“건물을 짓는 것을 오케스트라라고 치면 종합건설사는 지휘자고, 전문건설업체는 개별 악기 연주자라고 보면 됩니다. 저희가 건물의 실제 시공자입니다.”

지난 26일 오전 부산 부산진구 범천동 전문건설회관 4층에서 만난 대한전문건설협회 부산시회 김세원(64) 회장은 전문건설업을 이렇게 설명했다. 2017년 11월부터 부산시회를 이끌고 있는 그는 전문건설협회 중앙회 부회장이기도 하다. 3년 임기를 마치는 시점에 그를 만나 그간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회장은 절차를 거쳐 3년 연임할 수 있다.


2017년부터 회원사 1797곳 이끌어
연매출 6조·월 고용 13만 명 달해
"민간부문 하도급률 끌어올려야"


1985년 10월 출범한 전문건설협회는 건설 하도급 업체들의 단체다. 실내건축, 토공, 미장·방수, 석공, 도장, 조적, 비계·구조물, 창호, 지붕·판금, 철근콘크리트, 조경, 준설, 난방 등 17개 공종이 있다. 김 회장은 “부산은 특히 토공, 철골, 수중공사, 보링그라우팅 분야에서 전국적으로 시공능력을 인정받는다”고 설명했다. 건설협회, 주택건설협회, 기계설비건설협회, 시설물유지관리협회와 함께 5대 건설단체로 꼽힌다.

전문건설협회 부산시회 회원사는 1797곳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연 매출은 6조 2000억 원, 월 고용인원은 13만 명에 달한다. “지역 경제에서 실핏줄과 같은 곳이 전문건설업체입니다. 공종이 워낙 다양해 종합건설사와 달리 이해가 엇갈리는 측면도 있습니다. 그래서 더 중요한 것이 회원 간 화합이지요.” 지난해 11월 부산KBS에서 처음으로 음악회를 연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전문건설협회는 복합공사, 주계약자 공동도급 등을 통해 일감 확보에 힘을 쏟는다. 김 회장은 “우리 업계 입장에서 큰 발주처가 교육청인데, 제비용 원가를 15% 높이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며 “많은 개별 업체들이 천수답처럼 수주를 기다리는데, 개별 단위에서 할 수 없는 것을 협회가 풀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 1월 공공 부문부터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의 경계가 없어지는 것에 대비해 어떻게 외연을 넓힐지도 고민 중이다.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발굴도 앞으로 숙제다.

전문건설협회는 부산시와 유기적으로 협조한다. 부산시는 지역 업체 하도급률을 높이고, 불공정 계약을 줄이기 위해 2016년 11월 하도급관리팀을 신설했다. 이듬해인 2017년부터 매년 하도급 세일즈를 진행한다. 건설 대기업을 돌면서 지역 하도급 업체를 홍보하는 자리다. 김 회장은 “하도급팀은 정말 도전적으로 업계를 지원한다”고 평가했다.

전문건설업계에서 가장 아쉬운 것은 지역하도급률이다. 김 회장은 “부산 지역 공사에서 민간 부문은 48%, 공공 부문은 61% 정도여서 전체적으로 지역업체 하도급률이 51%에 달한다”며 “부산에서 이뤄지는 공사의 절반은 외지 업체가 수주한다고 보면 된다”고 꼬집었다. 김 회장은 “그동안 하도급 세일즈 등을 통해 지역하도급률이 10%포인트 정도가 높아졌는데, 앞으로 특히 민간 부문에서 더 높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경남고와 동아대 공업경영학과를 졸업한 김 회장은 2002년 (주)세원이엔지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강구조물 전문 업체다.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붓는 것과 달리, H빔으로 골조를 만드는 게 우리 방식입니다.” 그는 동부제강(현 동부제철) 수출과 내수 영업 분야에서 15년 남짓 근무했다. 신규 사업 발굴을 총괄하다가 직접 창업에 나선 것이다. 김마선 기자 ms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