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앞당겨진 ‘교실 없는 교육’, 숙제로 남은 ‘격차 해소’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창간74주년 기획-WITH 부산] 교육

코로나19 확산 이후 온라인 교육이 보편화되고 있다. 부산 양정고의 원격수업 장면. 부산일보 DB

원하든 원치 않았든 대한민국은 ‘온라인 교육’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교육계에선 코로나19가 온라인 교육을 10~20년은 앞당겼다고 이야기한다.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이 일사천리로 진행됐고 다시는 코로나 이전으로는 돌아갈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코로나 이전’ 회귀는 불가능
온라인 수업의 질 경쟁 시대로
디지털 취약계층 지원 있어야
콘텐츠·평가 방식 변화 새 화두


■‘교육 품질’ 개방의 시대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교육 현장은 온라인 수업 시대를 맞았고, 특히 대학의 경우 수업이 강의실에서만 이뤄지지 않고 온라인에서 이뤄지다 보니, ‘온라인 수업의 질’을 놓고 본격 경쟁하고 있다.

대학원의 경우 온라인 강의만으로도 학점을 얻고 학위까지 받는 형태로 진화할 전망이다. 교육부는 최근 원격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각 대학에 원격교육지원센터를 설치해 운영할 것을 지시했다. 교육부는 총 2조 1179억 원의 예산을 책정해 놓고 있다. 대학 간 강의를 공유하고 협업하는 형태도 지역을 넘어 우리나라 전체, 전 세계로 확산될 전망이다.

부산시교육청도 초·중·고의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교육을 위한 노력을 다각도로 펼치고 있다. 전자칠판 등이 각 교실에 구축되며, 블렌디드 러닝 연구학교의 경우 학생 ‘1인 1 스마트기기’ 지급이 이뤄진다. 새로운 교수법과 학습 모델 연구도 이뤄진다.

동의대의 경우 학교 본부가 3000여 개 수업을 모니터링하는 등 온라인 수업 품질 제고에 힘쓰고 있다. 동의대 교수학습개발센터 정주영 소장은 “몇 달 사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들의 인식 변화가 상당하다”면서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긴 하지만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을 통해 교수들이 1대 1 피드백을 하는 것에 상당히 만족한다”고 말했다. 비대면 수업이 대면보다 상호작용이 어려울 것이라고 여기지만, 실제로는 더욱 긴밀하게 돼 학생과 교수가 심리적으로 더 가깝게 느낀다는 것이다.



■‘교육 격차’는 뼈아픈 부분

온라인 교육이 시작되면서 가장 ‘아픈 부분’으로 부각된 것이 디지털 격차가 교육 격차로 이어지는 현실이다. 수업을 막힘없이 들을 수 있는 고급 기기와 통신 장비를 갖췄느냐 여부, 학생 옆에서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해 줄 수 있는 디지털 조력자(부모 등)가 있느냐 여부는 코로나 시대 새로운 교육 격차를 만들어냈다. 이는 곧 소득 격차와도 연결된다.

흥미롭게도 코로나 시대 학생 ‘취약 계층’을 언급할 때 어김없이 등장하는 것이 ‘맞벌이 가정’의 자녀였다. 정부와 각 시·도교육청은 격차 해소를 위해 학생 개인에게 디지털 장비를 지원하고 온라인 원격도우미를 배치하는 등의 지원책을 마련했지만 얼마나 적절하게 이뤄질 지는 지켜볼 부분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첼라밸리 교육구의 경우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와이파이를 장착한 스쿨버스를 마을 곳곳에 두고 아이패드를 무료로 제공해 저소득층 학생들이 인터넷을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게 한 바 있다.

온라인 교육 시대로 접어들면서 ‘교육 격차’에 대한 화두가 다시 던져진 것처럼, 본질적으로 교육을 통해 사회 구성원들에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들도 이뤄지고 있다. 새로운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에 대한 논의들도, 좀 더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 김영섭 전 부경대 총장은 “우리만의 콘텐츠가 없으면 결국 온라인 교육이 발달해 있는 교육 선진국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 지식종속사회로 가지 않으려면 K교육에 대한 좀 더 치열한 고민과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평가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는 논의들도 활발하다. 지금처럼 정답이 있는 시험이라면 온라인 평가를 실시할 경우 공정성 시비가 붙을 수밖에 없고, 온라인 교육 시대에 맞는 평가지표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온라인 교육 시대에는 과거와는 다른 ‘인재상’이 만들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현정 기자 edu@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