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동선 좀"… 부산 늘어나는 '깜깜이' 확진자에 불안감 확산

장혜진 부산닷컴 기자 jjang55@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10명(0시 기준)을 기록한 23일 오후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체 채취용 장갑을 소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10명(0시 기준)을 기록한 23일 오후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체 채취용 장갑을 소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늘어나는 부산 지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와 관련해 확진자 동선 공개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

부산시는 23일 의심환자 4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진단검사에서 6명이 추가 확진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부산 지역 누적 확진자는 399명으로 늘었다.

다행히 이날 집단감염이 발생한 동아대 부민캠퍼스와 관련해서는 추가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지만, 연산동 다단계 판매업체와 북구 식당 관련 확진자가 추가 발생했다. 또 자가격리 기간 중 격리수칙을 어기고 가족 장례를 치르기 위해 전남 순천의 한 장례식장을 다녀온 60대 남성 A(부산 383번) 씨 관련 확진자도 2명 발생했다.

하지만 늘어나는 확진자와 관련해 부산시민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부산시가 최근 일주일(9월16~22일)간 발생한 확진자 36명 가운데, 이른바 감염원이 파악되지 않은 이른바 '깜깜이' 확진자 비율이 14.3(5건)에 이르자 "확진자 동선을 제발 공개해 달라"는 민원이 잇따르고 있다.

이날 부산시 공식 페이스북 팔로워 최 모 씨는 "접촉자라고만 쓰지 말고, 어디서 접촉되었는지 알려주면 그 데이터가 쌓여서 더 조심해야 할 곳을 시민들이 알게 된다"라며 "다른 시에서 하는 '모든 동선' 공개를 영업장 민원 때문에 하지 못하면 접촉자 나온 곳이라고 공개하는 게 낫지 않나?"라고 했다.

이어 박 모 씨는 "OO번 확진자 접촉자라고만 하면 우리가 어느 구이며, 어떻게 확진된 것인지 일일이 다 찾아봐야 하는 건가"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최 모 씨 역시 "OO번 환경미화원. 이게 무슨 큰 개인정보라고 접촉자라고만 적어놓냐. 부산역같이 유동인구 많은 곳은 더 널리 알려야 하는 것 아닌가. 시민이 이 사실을 기사로 알게 만드냐?"고 비판했다.

이어 이 모 씨는 "366번 동아대 학생은 어디서 감염되었는지 역학조사를 끝이 났냐"고 물었고, 노 모 씨는 "동선 진짜 너무한다", 김 모 씨는 "수능 수험생들은 매일 등교하는데, 아이들도 힘들고 불안하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지적에 앞서 부산시는 지난달 코로나19 확진자 동선 공개 원칙을 발표했다.

부산시는 '접촉자 범위 선정과 공개 동선이 없음'에 대해 "접촉자 분류는 전문 역학조사관이 노출 정도, 개인 방역 수준 등 역학적 연관성을 평가해 판단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확진 환자와 같은 시간, 동일 공간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접촉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며 "마스크를 올바르게 착용하고 있었다면 접촉자로 분류하지 않을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만약 단 한 명이라도 마스크를 제대로 쓰지 않았거나 역학 조사관이 판단하기에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준을 폭넓게 적용해 접촉자로 분류하기도 한다"라고 설명했다.

'공개동선 없음'은 해당 공간 내 모든 접촉자의 신원이 파악된 경우를 말하지만, 역학조사로 파악된 접촉자 중 신원이 특정되지 않은 경우 구군 또는 부산시에서는 긴급재난문자 등으로 공개한다고 말했다.

'부산시의 동선 공개가 너무 느린 것 같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현재 부산시에서 동선공개가 타 시도에 비해 크게 늦지는 않다"며 "다만 확진 환자의 성향, 기억력 등 개인적 편차가 존재하고 환자 진술에 따른 교차검증과 현장 확인 과정까지 마무리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역학조사는 감염 확산을 막고 예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데, 실험실 검사뿐만 아니라 환자의 진술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환자가 개인 사생활 노출 우려로 조사에 협조적이지 않은 경우도 있고, 협조적이더라도 정확한 기억을 떠올리기 어려운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폐쇄회로(CC) TV, 신용카드 사용내역, 휴대전화 위치추적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를 일일이 현장 확인 과정까지 엄격하게 적용하다 보니 정보 공개가 느린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장혜진 부산닷컴 기자 jjang55@busan.com


장혜진 부산닷컴 기자 jjang55@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