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방역 구멍 속히 메꿔 ‘대구 사태’ 재연만은 막자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심리적 저지선으로 여겨지던 하루 1000명을 넘어서자 공포감이 전국을 짓누르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3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030명 늘었다고 밝혔다. 국내 첫 환자가 나온 1월 20일 이후 최대치다. 문재인 대통령도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더 물러설 곳이 없다. 거리 두기 3단계 격상이 필요할 경우 과감히 결단해 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부산도 지난 주말을 거치면서 이틀간 1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와 위기 상황이다. 부산은 물론 전국이 통제 불능의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마저 나오는 만큼 정부·지자체의 총동원 방역 체제 강화가 절실한 시점이다.

코로나 확진자 첫 1000명, 부산도 폭증세
조사 인력 부족 등 의료 체계 허점 보완해야

현재 코로나19 확진자의 급증세는 지난 2월과 8월의 1, 2차 유행 때와는 아주 다르다. 확진자 증가세가 1, 2차보다 매우 가파르고, 거리 두기 격상의 효과도 충분히 나타나지 않고 있다. 게다가 바이러스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겨울철 초기여서 향후 상황 예측도 어렵다. 문제는 신규 확진자 급증으로 병상 부족 상태가 현실화하고 의료 체계 전반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면서 지금의 의료 체계가 확진자 증가세를 감당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를 수 있다는 점이다. 서울·경기권의 선제적인 거리 두기 3단계 강화 제안과 경기도의 민간 시설에 대한 생활치료센터 긴급동원 조치 등이 모두 이에 대비한 선제적 조치로 보인다.

부산도 최근의 확진자 급증세와 대응 태세를 볼 때 이대로 가면 지난 2월의 ‘대구 사태’와 같은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지난 주말을 거치면서 확진자가 90명 가까이 나온 동구 인창요양병원의 경우 지난달 26일 첫 확진자 발생 때 이미 방역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다. 요양병원 특성상 첫 확진자 이후 당연히 병원 전수 검사가 이뤄졌어야 했지만, 역학조사 인력 부족으로 미뤄지다 대형 사태가 터졌다. 그런데 구별 역학조사 인원이 2~4명뿐으로 사실상 선제 대응은 힘들다고 한다. 지금껏 겨울철 대유행 경고가 셀 수 없을 정도로 나왔는데, 그동안 추가 조치가 없었던 것인지 정말 안타깝기 그지없다.

최근 꾸준한 확진자 증가세와 이에 대처하는 부산의 의료 시스템을 보면 살얼음판 위의 위태로움을 숨길 수 없다. 시민들의 거리 두기 강화와 같은 생활수칙 준수는 당연하지만, 부산시도 지금의 방역 허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을 귀담아들어야 한다. 20일 가까이 연속해서 두 자릿수 확진자가 나오는 마당에 생활치료센터의 확충은 정말로 시급하다. 연말연시까지 34개소를 설치하겠다던 호흡기 전담클리닉도 11곳에 불과하다고 한다. 물론 일선 공무원의 노고를 모르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지금은 차원이 다른 위기 상황이다. 꾸물꾸물하다 부산에서 ‘대구 사태’가 재연되는 것은 피해야 하지 않겠는가.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