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준공영제 회계, 블록체인으로 관리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6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부산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협약식 체결식‘에서 블록체인이 도입된 e-버스재정정보관리시스템이 시연되고 있다. 정대현 기자 jhyun@

준공영제 시행 이후 ‘방만 운영’ 논란에 휩싸인 부산 버스업체가 내년부터 ‘블록체인’으로 촘촘히 관리된다.

자체 프로그램이나 수기로 장부를 써 온 버스업체들은 앞으로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부산시 통합 시스템으로 회계를 해야 하는 것이다.

부산시는 내년 1월 1일부터 시내 33개 버스업체를 대상으로 회계 공유 시스템인 ‘e-버스재정정보관리시스템’을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시스템에는 전국 최초로 차세대 기술인 블록체인이 도입됐다. 블록체인이란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나눠 담아 서로의 기록을 검증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을 뜻한다.


부산시·버스조합 협약서 체결
내년부터 33개 버스업체에 도입
서버 분산 저장돼 위·변조 방지
방만 운영 논란 줄고 공공성 강화

해당 시스템 담당자인 부산시 강두호 공공교통정책과 주무관은 “그동안 버스업체는 내부 프로그램이나 수기 장부로 회계 자료를 기록한 탓에 위·변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며 “내년부터 ‘e-버스재정정보관리시스템’에 회계 자료를 입력하면, 여러 서버에 분산 저장돼 수정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보통 특정 데이터는 하나의 서버에 저장된다. 이 경우 서버 비용이 적게 들지만 위·변조 가능성이 쉽다는 단점이 있다. 서버 한곳에 있는 데이터만 수정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블록체인은 여러 서버에 같은 데이터를 저장한 뒤 서로 검증하는 방식이다. 한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하려 해도, 다른 서버에 있는 원본 데이터가 이를 막는다. 이런 원리로 블록체인 방식은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해 회계 투명성이 높아진다는 게 부산시 설명이다.

앞서 부산시는 2007년 5월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했다.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교통이 열악한 지역에 노선을 운영하거나 낮은 운임을 받으며 생기는 적자를 부산시가 보조금으로 지원해 주는 방식이다. 초기에는 보조금이 매년 700~800억 원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1300억 원까지 늘었다. 현재 부산에는 33개 버스 업체가 2511대 버스를 이용해 144개 노선을 운영 중이다.

하지만 시내버스 업체가 1000억 원대의 지원금을 받으면서도 방만하게 운영한다는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지난해 부산YMCA가 진행한 ‘부산시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송수입금 분석 및 제도 혁신 용역’ 자료에 따르면, 부산은 2018년 표준운송원가 항목에 버스 한 대당 임원 하루 인건비로 5858원을 책정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평균인 4740원은 물론 서울(5421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와 함께 서비스 질이 시민 눈높이에 못 미친다는 비판도 계속 나왔다. 부산시에 접수된 버스 교통 불편신고 건수는 2018년 252건에서 지난해 361건으로 급증했다. 교통 불편신고 대상에는 운전기사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급정지·출발, 욕설 등이 포함된다.

부산시는 새 시스템 도입으로 시내버스의 공공성과 서비스 질 모두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부산시 황수언 공공교통정책과장은 “시가 각 버스업체의 회계 정보를 투명하게 볼 수 있게 되면서 더 체계적으로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는 16일 오후 4시 버스운송사업조합과 ‘부산 시내버스 준공영제 협약서 체결식’을 가졌다. 협약서에는 ‘e-버스재정정보관리시스템’ 도입과 함께 중대 비리 업체에 대한 공익이사 파견, 운송 사업자의 부정행위 발생 시 준공영제 제외 등의 내용이 담겼다. 또한, 부산시는 올해 8월에 완료된 시내버스 노선 개편 용역 결과에 따라 4단계로 나눠 144개 노선 중 82개 노선을 개편할 예정이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