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인구 유출, ‘부산형 일자리’ 확층으로 막아야 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청년 1만 명 이상이 매년 고향을 떠나고 있다. 지난 5년간 7만여 명에 이르는 부끄러운 수치다. 많은 사랑과 지역의 자원을 쏟아 애써 키운 우리 청년들이 그 기운과 지식을 고향에 쏟지 못하고 일자리를 찾아 서울로, 경기도로 가고 있다. 부산시가 6일 발표한 ‘2020 부산사회조사’에 따르면 2019년 부산을 떠난 청년(25∼39세) 인구는 1만 2667명이다. 전체 유출 인구의 54%가 청년이다. 2018년에도 1만 3378명이 떠났다. 지역 대학을 졸업한 청년들은 “고향에서 채용 기회조차 얻기 어렵고…취업만 된다면 당장이라도 다른 지역으로 가겠다”고 토로할 정도다.

지난 5년간 청년 5만 명 부산 떠나
산업구조 개편, 공공기관 이전해야

원인은 일자리다. 부산시 조사에서 ‘부산에 계속 살고 싶다’는 응답이 74%에 이른 것을 보면 ‘부산이 싫어서’가 아니라, ‘일자리가 없어서’ 부산을 떠나는 것이다. 2020년 2~3분기 부산의 청년 취업자 수는 2019년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했다. 전국 평균보다 2배 이상 높고, 해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최근 지역 방송국인 KBS부산과 부산MBC의 ‘차기 부산시장이 실행해야 하는 부산의 주요 정책’ 공동 여론조사 결과 ‘일자리 창출’이 51%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일자리가 부산이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현안이다.

부산시가 이런 와중에 ‘부산형 일자리’ 모델을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인 ‘상생형 지역 일자리 공모사업’으로 신청했다. 부산형 일자리 사업은 ㈜코렌스EM을 비롯한 협력사 20여 개 기업이 부산신항만 인근 국제산업물류도시에 7600억 원을 투자하고 4300명을 고용해 미래차 부품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오는 4월부터 시제품을 생산해 2031년까지 전기차 구동 유닛 500여만 대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반가운 소식이다. 부울경 지역은 국내 자동차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크지만, 내연기관 부품 제조에 편중돼 있다. 지역을 미래 전기차 밸류 체인으로 변모시키는 이 사업은 충분히 환영할 만하다.

일자리는 지역 주민의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인간 존엄성과 삶의 지속성, 행복과도 직결된다. 청년의 이탈은 결국 지역 대학과 경제계의 경쟁력 감소로 이어진다. 또한, 노인만 많은 도시는 부산 특유의 다이내믹한 정서와 창조적 문화조차 엷어지게 할 수 있다.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부산시와 중앙정부는 전기차 및 배터리, 바이오, 로봇, 항공, 전자 부품 등으로 부산의 산업 패러다임을 개편해야 한다. 특히, 수도권 공공기관의 조속한 지역 이전과 지역인재 채용 확대를 통해 청년이 부모와 함께 살 수 있는 지역공동체 조성을 주요 정책 과제로 삼아야 한다. 돈을 벌기 위해 고향을 떠나는 청년 한 명 한 명마다 부모들의 슬픔과 가슴앓이가 담겨 있다. 부산시와 중앙정부가 부끄러워해야 할 대목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