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제2신항, 한국형 스마트 항만으로 운영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제3차 해양수산발전 기본계획

문성혁(오른쪽)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1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차 해양수산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해수부 제공 문성혁(오른쪽)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1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차 해양수산발전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해수부 제공

앞으로 건설될 부산항 제2신항(진해신항)은 본격적인 ‘한국형 스마트 항만’으로 운영된다. 이에 따라 부산항의 국제 경쟁력도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등 15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제3차 해양수산발전 기본계획’(2021∼2030년)이 12일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오는 2030년까지 해양수산분야 신산업 시장을 11조 3000억 원 규모로 키우고, 어가 평균 소득 7000만 원을 달성한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부산신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배후단지에 10만 2000㎡ 규모

부산신항 LNG벙커링 터미널

대형 수리조선단지 탄력 받을 듯

해양수산 신산업 11조로 확대

어가 평균 소득 7000만 원 달성


이를 위해 해양바이오산업, 해양에너지·자원산업 개발, 해양레저관광, 첨단 해양장비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신산업을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부울경 지역에서도 이에 걸맞은 기업 육성과 유치 등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부산 수산가공선진화단지 입주기업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삼양씨푸드(주) 이권주 대표는 "부산의 수산가공 공장들이 4차 산업, 언택트 등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수산가공품에 대한 비대면 거래, 온라인 거래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지역 가공업체들이 성장할 수 있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 선박 수리조선, 수산 기자재, 낚시 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의 보증 범위 확대와 선박의 소유·운영 분리 등을 통해 기존 산업의 성장도 함께 이룬다는 방침이다. 앞서 해수부가 고시한 ‘제4차 전국 항만기본계획’이 반영된 부산항 신항 LNG벙커링 터미널, 3만t급 이상 대형 수리조선단지 건설 계획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부산이 본사인 해양진흥공사의 자본금 확충 등을 통한 위상 강화 논의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이런 작업들이 차질 없이 이뤄지면 2019년 기준 16억 4000만t 수준인 전국 항만의 물동량도 2030년에는 20억t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양수산업 전반을 디지털화 하는 것도 주요 전략이다. 2030년까지 완전무인 자율운항선박의 개발을 완료하고, 세계 자율운항선박 시장의 점유율 50%를 달성키로 했다. 또 부산항 제2신항의 경우 2030년부터 본격적인 ‘한국형 스마트 항만’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전체 양식장의 2.5%(2020년 기준)에 불과한 스마트 양식장 비율도 2030년 50%까지 늘린다는 목표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센서 등을 활용해 화물 입출고·적치, 재고·시설관리 효율화를 지원하는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도 구축한다. 해수부는 2024년까지 부산항 신항 서컨배후단지에 10만 2000㎡ 면적으로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컨테이너 화물 처리 시간도 2만 5000TEU 기준으로 현재 40시간에서 2030년 24시간으로 40% 단축할 방침이다.

인구 급감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어촌을 위해서는 어가의 평균 소득이 2018년 기준 4842만 원에서 2030년 7000만 원을 달성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올해 3월부터 수산공익직불제를 확대 시행하고 기존의 어촌뉴딜300 사업 외에 의료·복지·여행 등 어촌 어항의 전반적인 재생사업이 추진된다.

안전 강화도 주요 전략으로 추진한다. 전국 4개 항만에서 발생하는 중대 안전사고의 약 70%가 부산항에서 발생하고 있어 안전사고 예방은 중요한 당면 과제다. 해수부는 항만작업 중 사고를 당한 사람의 비율을 1만 명당 2.55명에서 2030년에는 0.51명으로 줄인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와 IoT 기술을 해양수산 근로 현장과 장비에 접목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자동화로 인해 기존 일자리가 줄어드는 데 대한 우려가 높은데,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나는 효과와 함께 위험 직종이 줄어든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강조했다.

송현수·장병진 기자 songh@busan.com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