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누적 확진자 1억 명 ‘눈앞’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보호장비를 착용한 홍콩 경찰은 24일(현지시간) 거리 순찰에 나섰다. 홍콩 정부는 전날 오전 4시를 기해 카오룽 야우침몽구 내 위치한 200여 개 건물을 전격 봉쇄하고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했다.이 지역에는 약 1만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에서 코로나19 관련해 특정 지역에 대해 봉쇄령이 내려진 것은 처음이다. AFP연합뉴스 보호장비를 착용한 홍콩 경찰은 24일(현지시간) 거리 순찰에 나섰다. 홍콩 정부는 전날 오전 4시를 기해 카오룽 야우침몽구 내 위치한 200여 개 건물을 전격 봉쇄하고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했다.이 지역에는 약 1만 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에서 코로나19 관련해 특정 지역에 대해 봉쇄령이 내려진 것은 처음이다. AFP연합뉴스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곧 1억 명에 이를 전망이다. 2019년 12월 31일 중국이 후베이성 우한에서 정체불명의 폐렴이 발생했다고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한 지 1년여 만이다.


美 2500만 명, 인도 1000만 명

현재 사망자 210만 명 넘어서

국가 간 협력·연대 부족 탓 분석

백신 ‘빈익빈 부익부’도 문제

■누적 확진자 1억 명 눈앞

24일(현지시간)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전 세계 누적 확진자가 9900만명을 넘어섰다. 이 같은 추세라면 이번 주 초 1억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세계 인구가 80억 명 가까이 되는 점을 고려하면 80명에 1명 꼴로 감염된 셈이다. 현재 사망자도 210만 명을 훌쩍 넘어섰다.

누적 확진자는 미국이 2500만 명을 넘어 가장 많다. 인도는 1000만 명을 돌파했고, 브라질은 900만 명에 근접하고 있다. 이어 러시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터키, 독일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지난달 8일 세계 최초로 영국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래 미국과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 등 세계 50여 개 국에서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지만, 전파력이 더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변이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코로나19 공포가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지난달 11일 처음 확인된 지 한 달여 만에 전 세계 국가 수의 30%(최소 60개국)으로 확산했다.

이처럼 전 세계를 강타하며 인류 최악의 전염병 사태 중 하나로 꼽히게 된 코로나19 사태는 국가 간 협력과 통합, 연대의 부재 탓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은 국제적 협력의 시험대였지만, 사실상 낙제한 시험”이라고 평했다.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도 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가 여행금지 조치, 물자의 수출 통제, 정보의 독차지와 통제, 세계보건기구(WHO)와 다른 다자주의 기관들의 변방화 등에 경쟁적으로 나서며 대응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지도자들의 대처도 중요 변수였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대표적이다. 그는 코로나19의 심각성을 축소하는 데 급급하고 WHO에 탈퇴하는 등 세계적 공동 대처에도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확산을 키우는 데 일조했다.


■국가간 백신공급 불균형 심화

코로나19 확산이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여러 분야에 걸쳐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 간 백신 보급 불균형은 심각한 문제로 꼽힌다. 일부 부유국들이 백신을 선점하면서 빈국들은 백신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코로나19가 국경을 가리지 않고 넘나든다는 점에서 이런 ‘국가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지구촌 차원의 코로나19 집단면역을 지연시킬 공산이 크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듀크 대학 등의 분석을 토대로 유럽연합(EU)의 경우 인구 대비 2배, 미국과 영국은 4배 이상 접종이 가능한 백신 물량을 입도선매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생산 물량의 한계 때문에 많은 저소득 국가들의 경우 2024년 전까지는 자국 인구 전체에게 접종할 수 있는 충분한 백신 물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AP 통신은 부유국에서는 긴 대기 줄과 부족한 예산, 주·지방 정부의 땜질식 처방 등으로 백신 접종 드라이브가 방해받고 있지만, 빈곤국에서는 빈약한 의료시스템에 무너진 대중교통망, 만성화한 부패 등 본질적인 문제가 더 많다고 지적했다. 특히 저소득 국가의 경우 백신 유통에 필수인 콜드체인(저온 유통망) 인프라가 열악하다는 점도 큰 걸림돌로 지적된다.


■교육, 경제 격차 더 벌어질 듯

계층간 아동들의 교육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교육 현장이 온라인으로 대체되면서 스마트 기기를 가지지 못한 빈곤층 아동들은 교육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 가지 못하고 원격수업에도 참여할 수 없는 아이들은 일터로 내몰리기도 한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지난해 10월 언론 인터뷰에서 전 세계 개발도상국 학생들 10억 명이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밖으로 내몰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코로나19 사태 충격 여파는 교육을 넘어 생존의 문제도 미친다.

이탈리아에서는 교육 수준이 낮고 가난할수록 코로나19 치명률이 더 높다고 추정할 수 있다는 통계까지 나왔다. 이탈리아 통계청(ISTAT)은 그 원인으로 빈곤층이 밀집 거주 환경에서 생활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었다.

문제는 코로나19 사태가 길어지면서 이런 불평등 구조가 더욱 심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홍콩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로 최근 노숙자가 많이 늘어났다. 기존 노숙자들이 처한 환경도 더 악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여러 나라에서는 실업자도 크게 늘었다. 실업자 대부분은 빈민이나 서민층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 과정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경제 격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코로나19 사태 이후 선진국은 빠르게 경제를 회복하는 반면, 개발도상국은 회복이 더딘 'K자 양극화'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가난한 나라들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계속해서 황폐해질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일부연합뉴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