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꼭 필요하다? vs 지속가능 대안 아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탄소 중립 위해서는 에너지효율 높은 원전 꼭 필요하다?
땅 좁은 우리나라 사고 위험 부담 더 커 지속가능 대안 아니다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자력본부 고리 1~4호기 전경.부산일보DB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자력본부 고리 1~4호기 전경.부산일보DB

지난 16일 전 세계에 동시출간된 빌 게이츠의 ‘빌 게이츠, 기후 재앙을 피하는 법’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각 분야의 연구와 기술 혁신을 제시한다. 그러나 출간 전 진행된 공동 화상인터뷰에 참여한 국내 언론에는 빌 게이츠가 탄소중립을 위해 원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는 일부 내용이 전면에 부각됐다.

원자력발전이 친환경적인 에너지인가 하는 문제는 오래된 논란이다. 원전은 주요 에너지원 가운데 온실가스를 직접적으로 배출하지 않고 에너지효율이 높다. 특히 제조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탈원전 정책으로는 탄소중립이 불가능하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다.

책에서 원전은 세계 온실가스 연간 배출량 510억 톤의 27%를 차지하는 전기 생산을 다룬 4장에서 ‘탈탄소’ 전기를 얻기 위한 기술의 하나로 해상풍력, 지열 등과 함께 잠시 언급된다. ‘삼척동자도 아는’ 사고 위험 등에도 불구하고 가까운 시일 내 싸게 전력망을 탈탄소화할 수 있는, 무시할 수 없는 대안이라는 주장이다. 자신이 차세대 원자로 설계를 위해 2008년 창업한 테라파워의 구상도 소개된다.

안전의 관점에서 탈원전 운동에 앞장서온 김유창 동의대 디자인공학부 교수는 “원전 사고는 아무리 확률이 낮더라도 우리 세대에서 복구할 수 없는 피해를 후손에게 넘긴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없다”면서 “땅이 좁고 인구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사고가 일어날 경우 위험 부담이 더 크고,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더이상 싼 에너지도 아니게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김 교수는 또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탄소중립 목표에 대해서도 “단기간의 탈원전이 아니라 60년 이상 걸려 서서히 의존도를 낮추는 정책이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준비할 시간은 충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혜규 기자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