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년 전 부산 노포동에 묻은 옥과 칼

정달식 선임기자 dos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노포동 고분군 25·26호 묘에서 장신구로 보이는 수정제 다면 옥 1점과 수정제 구슬 2점도 출토됐다. 수정제 다면 옥. 한국문물연구원 제공 부산 노포동 고분군 25·26호 묘에서 장신구로 보이는 수정제 다면 옥 1점과 수정제 구슬 2점도 출토됐다. 수정제 다면 옥. 한국문물연구원 제공

부산의 대표적인 삼한시대 유적지이자 분묘군인 노포동 고분군에서 다량의 유물과 유구가 발굴됐다.

(재)한국문물연구원은 2020년 12월 21일부터 올해 2월 23일까지 진행한 노포동 고분군 문화재보호구역(부산시기념물 제42호)에서 진행한 발굴(정밀) 조사에서 다량의 삼한시대 무덤 등 유구(遺構)를 비롯해 수정제 다면 옥(1점)과 구슬(2점), 다량의 토기와 철기류(환두도, 철모, 철부, 철촉 등) 등 유물이 출토됐다고 28일 밝혔다.


한국문물연구원 노포동 고분군 발굴

수정제 다면옥·구슬·환두도 등 출토

3세기 삼한시대 권력자 입증 자료

고분군 주변으로 조사 범위 넓혀야

15호 묘에서 나온 길이 81.5cm의 환두도. 한국문물연구원 제공 15호 묘에서 나온 길이 81.5cm의 환두도. 한국문물연구원 제공

이번 조사는 노포동 고분군 유적에 대한 금정구의 장기적인 종합정비사업 일환으로 이뤄졌다. 조사 대상 지역은 노포동 고분군 전체 1만 9578㎡ 중 920㎡다.

이번 발굴조사에서 3세기 대로 추정되는 삼한시대 유구가 다량으로 발견돼 부산 지역의 고대국가 발생과 전개 과정을 밝혀주는 중요한 유적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노포동 고분군은 4~5세기 형성된 동래구 복천동 고분군보다 앞선 3세기 대로 당시 정치 체계를 규명할 수 있는 유적지다.

이번 정밀발굴조사 결과 삼한시대 목곽묘 13기, 옹관묘 1기 등 모두 17기(조선시대 추정 분묘 1기 제외)의 유구가 확인됐다. 이 중 목곽의 규모는 길이 189~431cm, 너비 74~155cm에 이른다. 앞서 2009년 노포동 고분군에서 고분군 북쪽 300m 떨어진 곳에서도 3세기 전반대의 목곽묘 7기, 고분군 북동쪽 약 300m 떨어진 곳(두구동 유적지)에서도 2세기 중엽부터 3세기 전반에 조성된 삼한시대 주거지 33동이 발견된 바 있다.


노포동 고분군 발굴 지역 현장 모습. 한국문물연구원 제공 노포동 고분군 발굴 지역 현장 모습. 한국문물연구원 제공

또 이번 발굴조사에서 25·26호 묘에서 장신구로 보이는 수정제 다면 옥 1점과 수정제 구슬 2점도 출토됐다. 정교하게 가공된 옥과 구슬은 무덤 주인의 재력과 권력, 위신(위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미 이 시기에 권력체계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15호 묘에서는 길이 81.5cm의 환두도가 나왔다. 이 유물은 환두도에 장식이 없는 소환두도 형식으로 환두는 타원형에 가깝다. 앞서 1980년대 부산대박물관의 노포동 고분군 발굴조사에서 3세기 후반대로 추정되는 3점의 환두도가 나온 바 있다. 15호에서 나온 환두도는 길이는 다르나 형태는 앞서 발굴된 3점의 환두도와 유사하다. 앞서 2017년 6월부터 9월까지 진행된 부산박물관의 노포동 고분군 발굴조사에서 토기·철모·철촉 등 5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된 바 있다.

한국문물연구원 정의도 원장은 “이번 유물 발굴로 노포동 고분군이 3세기대 고대국가 전개 과정을 밝혀주는 중요한 유적지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입증했다. 이에 노포동 고분군에 대해 발굴 조사 범위도 더 넓혀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학계에서도 노포동 고분군은 동래지역이 본격적인 국가체제로 들어가는 표식적인 유적인 만큼, 부산시에서도 인식을 달리해 노포동 고분군 주변에 대해 추가로 지표조사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노포동 고분군은 1984년과 1985년 부산박물관과 부산대박물관의 발굴조사에서 삼한시대 다량의 유구가 확인돼 1996년 부산시기념물로 지정됐다. 하지만 이후 훼손이 진행돼 금정구청에서는 고분군 보호와 관리 등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부산박물관과 함께 2017~2019년 1~3차에 걸쳐 발굴 조사를 한 바 있다. 이번 한국문물연구원의 발굴조사는 4차에 해당한다.

정달식 선임기자 dosol@busan.com



정달식 선임기자 dos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