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오세훈 압승… 민심은 정권 심판 택했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서울시장 보선 결과 분석

국민의힘 박형준(왼쪽) 부산시장 후보가 7일 오후 자신의 선거사무실에서 출구조사 발표를 듣고 지지자들과 환호하고 있다. 오른쪽은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가 같은 날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 개표상황실에서 출구조사 결과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앞서는 걸로 예측되자 기뻐하는 모습. 김경현 기자 view@·국회사진기자단

내년 대선 전초전 성격으로 치러졌던 부산·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야당의 승리로 끝났다. 대한민국 제1·2 도시의 유권자들은 집권여당의 국정운영을 냉정하게 평가했다. 지난해 12월 예비후보 등록 이후 일관되게 선거판을 주도한 ‘정권심판론’ 앞에 여권의 여러 '정책 선물'과 신랄한 상대후보 비판 등의 공세가 통하지 않았다.

이번 선거 결과는 당초 예상을 크게 빗나가지 않았다는 평가가 많다. 이번 보선은 민주당 소속 전임 시장들의 잘못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민주당은 중대한 과오로 재·보선이 실시될 경우 후보를 내지 않겠다던 ‘문재인 룰’을 무시한 채 부산시장과 서울시장 후보를 내놓았는가 하면, 성 추행 당사자인 박원순 전 서울시장을 옹호하거나 ‘오거돈 변호인’을 김영춘 부산시장 후보 선대위에서 중책을 맡겼다. 이를 두고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태도를 취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유권자, 국정운영 냉정한 평가
선거 결과 예상 빗나가지 않아
민주당 ‘네거티브’ 치중하면서
성과물 못 알리는 전략적 실패

이번 부산시장 보선 과정 여론조사에서도 후보·정당·대통령 등 표심 결정의 3대 요소가 민주당 김영춘 후보에게 유리하게 나온 적이 없었고, 서울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여기에 정권심판론이 선거판 전체를 주도하면서 민주당 후보들은 큰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부산일보>가 YTN·리얼미터와 공동으로 실시한 4차례 여론조사(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에서 박형준(국민의힘) 후보의 압도적 우위가 지속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도 민주당은 국민의힘에 턱없이 뒤졌고,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평가도 부정평가가 압도했다. <부산일보>·YTN·리얼미터의 마지막 부산지역 조사(3월 28~29일)에서 박형준(51.1%) 후보가 김영춘(32.1%) 후보를 19%포인트(P) 앞섰고, 정당 지지도에서도 국민의힘(37.8%)이 민주당(28.0%)보다 9.8%P 높았다.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도 긍정평가(32.6%)보다 부정평가(63.0%)가 높았다.

3년 전 부산시장 선거 때와는 정반대의 상황이었다. <부산일보>·부산MBC·리얼미터가 2018년 4월 13~14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오거돈(46.3%) 후보가 자유한국당 서병수(26.4%) 후보를 크게 앞섰고, 민주당(42.2%)이 한국당(23.3%)보다 정당지지율이 훨씬 높았다. 문 대통령 국정 지지지는 긍정평가(64.8%)가 부정평가(28.3%)를 압도했다. 결과는 당연히 오거돈 후보의 압승이었다.

이번에는 부산과 서울시장 선거를 주도한 ‘정권심판론’ 앞에서 민주당 김영춘·박영선 후보는 불리한 분위기를 제대로 만회하지 못했다. 문화일보·엠브레인의 부산지역 조사(3월 27~28일)에서 ‘여당 지원론’(32.3%)보다 ‘야당 지원론’(54.8%)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중앙일보·입소스의 서울지역 조사(3월 30~31일)에서도 ‘정권심판론’(50.8%)이 ‘국정안정론’(36.2%)을 압도했다.

민주당은 이번 선거전 중반부터 상대 후보를 흠집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데 집중했지만 성과는 크지 않았다. 오세훈 후보에 대해선 ‘내곡동 땅 셀프 보상’ 의혹을 집중 제기했고, 박형준 후보에 대해선 엘시티 특혜분양, 국회 사무총장 재직 당시 직권남용, 청와대 정무수석 때 불법사찰 지시 등 무차별 공세를 퍼부었다.

이처럼 민주당이 사실상 네거티브 선거전략에 집중하면서 가덕신공항과 경부선 철길 지하화, 2030 등록엑스포 부산 유치 추진 등 굵직한 성과물들이 묻혀 버렸다. 네거티브에 치중하면서 성과물을 제대로 알리지 못하는 ‘전략적 실패’를 범했다는 평가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7일 “일관되게 50%대를 유지한 정권심판론 앞에 여권의 네거티브 공세는 무력했다”고 분석했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