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대체 거래소’ 융합, 디지털자산거래소 부산 설립 추진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가상자산거래소’보다 진일보 기존 증권시장 상품도 취급 ‘블록체인 시민 논단’서 소개 비스텝, 가능성 집중 연구 나서 부산시 “미래금융 활성화 집중”

순천향대학교 경제금융학과 권혁준 교수가 24일 오후 부산YMCA 대강당에서 열린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의 미래와 소비자보호 방향’이란 주제의 시민논단에서 ‘블록체인의 가능성, 이에 기반한 가상자산의 미래’를 제목으로 발제를 하고 있다. 김경현 기자 view@

부산 블록체인특구 내에 기존 가상자산거래소보다 진일보한 형태의 디지털자산거래소가 추진된다. ‘코인’으로 불리는 기존 가상자산에 더해 NFT(대체불가능토큰)나 STO(증권형토큰) 등 다양한 디지털자산은 물론, 기존 증권시장에서 거래하는 상품까지도 취급하는 거래소를 만들자는 것이다. 이른바 가상자산거래소와 대체거래소(ATS)의 통합거래소 형태다.

‘가상자산거래소’보다 진일보
기존 증권시장 상품도 취급
‘블록체인 시민 논단’서 소개
비스텝, 가능성 집중 연구 나서
부산시 “미래금융 활성화 집중”

24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시 산하 연구개발(R&D)전문기관인 부산산업과학혁신원(비스텝·BISTEP)에 의뢰해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구축을 위한 연구’라는 주제로 기획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비스텝 관계자는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을 위해 실현가능한 방안을 연구하다 보니, 증권업계에서 추진 중인 대체거래소 업무를 포함하는 거래소 형태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며 "현재 다양한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이를 중심으로 법적, 산업적 가능성에 대해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비스텝이 검토 중인 디지털자산거래소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24일 부산YMCA 주최로 열린 ‘블록체인 기반 가상자산의 미래와 소비자보호 방향’이라는 주제의 시민논단에서 소개됐다. 이날 시민논단의 발제자로 나선 순천향대 경제금융학과 권혁준 교수는 “가상자산 관련 범죄, 사기로부터 투자자들을 보호하고 건강한 가상자산시장을 형성하기 위해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권 교수는 비스텝 기획연구의 기획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권 교수는 가상자산거래소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국내 금융사들이 컨소시엄을 이뤄 새로운 거래소를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새로운 거래소는 기존 가상자산거래소 역할에 더해 현재 금융권이 추진 중인 대체거래소 기능까지 포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체거래소는 한국거래소의 주식 매매체결 업무를 나눠 갖는 또 하나의 증권거래소를 의미한다. 2013년 법적 근거가 마련된 후 금융업계의 대체거래소 설립 시도는 여러 번 있었지만, 매번 수익성 문제로 좌절됐다. 최근 국내 증권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국내 대표 증권사들로 구성된 ‘ATS 설립준비위원회’는 다시 대체거래소 설립에 대한 타당성 용역을 벌이고 있다.

권 교수는 새로운 디지털자산거래소에 대체거래소 업무를 포함함으로써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기존 증권사들의 참여로 거래소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한국거래소 매매 업무 일부만으로는 수익성을 담보할 수 없는 증권사 입장에서도 가상자산 거래를 함께 취급함으로써 수익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권 교수는 “부산은 블록체인 기술 인프라와 금융 인프라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만큼 새로운 디지털자산거래소가 생긴다면 부산이 가장 적당하다”며 “디지털자산거래소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선 일부 법적인 문제가 걸림돌이 될 수 있는데, 블록체인 특구의 특례 조항을 이용해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산시는 올 하반기 기획연구보고서가 나오는 대로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을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뿐만 아니라 내달 중 실시될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금융 관련 2개 팀과 블록체인 특구 관련 2개 팀을 합친 금융블록체인과(가칭)를 신설해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등 미래금융 활성화에 힘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거래소 설립에 대한 모든 권한이 금융당국에 있는 만큼, 해당 연구의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에서 지자체가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기가 곤란하지만 대체로 권 교수의 제안과 비슷한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종열 기자 bell10@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