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뚝심 행보’ 끌어낸 한정애 장관의 의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 의결

낙동강 지역의 취수원 다변화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96년부터다. 하지만 매번 지역 갈등에 발목이 잡혔다.

답보 상태의 취수원 다변화 논의가 급물살을 탈 수 있었던 것은 환경부의 노력이 결정적이었다. 특히 올 1월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임명된 뒤 환경부의 뚝심 있는 행보가 시작됐다.

환경공학 전공… 수질 문제 이해력 높아

지난해 하반기만 하더라도 취수원 다변화 등의 방안은 뚜렷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환경부가 물이용부담금을 신규 취수원에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신규 취수원 제재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지원이 가능토록 수계법 등을 손을 보기로 한 것이다. 물이용부담금 사용은 매우 경직되게 운영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환경부가 매우 유연한 대응을 결정한 셈이다.

신규 취수원 지역에 대한 지원은 늘리면서 한편으론 취수원 다변화는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는 강한 메시지도 계속 줬다. 올 5월 한 장관은 합천, 창녕 등을 직접 찾아가 환경부 입장을 설명하는 등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부산시 한 인사는 “24일 낙동강유역위 의결 과정에서도 반대 입장도 일부 있었으나, 한 장관이 강단 있게 대응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한 장관이 환경부의 변화를 끌어낸 건 낙동강 수질 문제에 대한 이해력이 높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 장관은 부산에서 중·고교를 나와 부산대 환경공학과를 졸업했다. 낙동강 하류 지역의 불안감을 직접 체험하면서 공부한 이력이 있던 것이다. 다만 취수원 지역과 일부 반대 환경단체와의 갈등 해결 과정에서 한 장관의 리더십이 어떤 식으로 발현되느냐는 남은 숙제다.

한 장관은 24일 “통합물관리 방안 의결로 낙동강 먹는 물 갈등 해결을 위한 단초를 마련하게 됐다”며 “정책 이행 단계에서 유역 주민들과 더 소통해 공감을 이끌어 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백상 기자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