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발전소 건립’ 팔 걷는 고성군, 팔 젓는 통영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경남 이웃 지자체인 통영과 고성이 천연가스(LNG)로 전기를 생산하는 복합화력발전소 건설을 놓고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미 착수한 사업조차 환경단체 반발 등으로 하세월인 통영과 달리, 고성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관이 뭉쳐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고성군은 정부의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한국남동발전(주)이 추진하는 1000MW급 신규 LNG 발전소 유치에 나섰다고 4일 밝혔다. 이를 위해 단계적 폐쇄가 예정된 현 삼천포화력발전소를 후보지로 낙점한 군은 대상지 반경 5km 내 주민과 군의회 동의를 얻어 건설입지 선정 제안서를 제출했다. 현재 고성을 포함해 전국 5개 지자체가 유치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동발전은 제안서 평가를 거쳐 오는 8월께 최종 입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고성, 민관 남동발전 유치전
폐쇄 예정 삼천포화전 후보지로
통영, 환경·수산업계 반발 여론
현산 민자발전소 건설에 제동

고성은 기존 발전소 부지와 공업용수·송전계통 설비를 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타 지자체에 비해 유리하다는 평가다. 고성군이 LNG 발전소 유치에 팔을 걷어붙인 건 삼천포화전 폐쇄에 따른 지역 경제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다. 삼천포화전은 국내 최초 대용량 석탄발전소로 고성 하이면에 자리 잡고 있다. 최근 미세먼지와 기후 위기 원인으로 노후 석탄발전소가 지목됐고, 지난 4월 노후 시설인 1·2호기가 우선 영구폐쇄 됐다. 이어 2024년에는 3·4호기, 2027년 5호기, 2028년에는 마지막 6호기가 단계적으로 문을 닫는다. 이에 따른 인력 유출과 지역 지원 사업 축소, 일자리 감소로 인한 공동화 현상과 함께 지역 경제도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게 군의 판단이다. 이번에 LNG 발전소를 유치하면 가동 기간 30년을 기준으로 지역자원시설세 등 최소 1600억 원의 세수 확보에다,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금으로 412억 원(기본지원금 202억 원, 특별지원금 210억 원) 상당도 받는다. 여기에 발전소 건설 기간 27만여 명, 운영 중 800여 명의 인구가 유입돼 부가적인 낙수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백두현 군수는 “지역 주민 뜻을 모아 반드시 유치해 지역 경제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밝혔다.

반면 통영시는 어렵게 가져온 발전소조차 뒤늦은 트집으로 발목을 잡고 있다. 통영 LNG 발전소는 현대산업개발이 1조 4000억 원을 투자하는 민자 발전소다. 2013년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됐지만, 건립 용지가 없어 표류하다 산업통상자원부가 2017년 7월 사업 취소를 결정했다. 이에 산업부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한 현산은 2년여 법정다툼 끝에 승소하며 사업권을 되찾았다. 이후 옛 성동조선해양 3독을 확보한 현산은 사업을 본격화 했다. 지역에선 주력산업인 조선업 붕괴로 침체 일로인 지역 경제에 적잖은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다. 현산은 사업 착수 시 3년 6개월 정도로 추정되는 건설 기간에 하루 평균 600여 명, 연인원 76만 명의 고용 창출을 예상했다. 이를 통한 주변 지역 낙수 효과도 1000억 원 상당으로 추산된다. 당시 성동조선해양 법정관리로 벼랑 끝까지 내몰렸던 안정공단 주변 상인과 주민들은 발전소 조기 착공을 요구했다. 그러나 환경단체와 지역 수산업계의 반발에 부딪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했다. 이들은 LNG 역시 화석연료로 석탄보다 온실가스는 적게 배출되지만, 초미세먼지·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은 큰 차이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발전소 가동 시 필연적인 온배수로 인한 주변 해양생태계 파괴와 어업피해가 우려된다며 사업 백지화를 요구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민선 7기 출범 이후, 통영시까지 토양정화사업 등 환경 이슈를 연거푸 문제 삼는 바람에 다시 2년을 허비했다.

지역 상공계 관계자는 “전임 시장 시절 어렵게 성사된 사업을 시장 바뀌었다고 엎으면 안 된다”면서 “어려운 경제 여건에 대규모 공사는 분명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정상 추진되도록 행정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