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초고령사회 진입 부산, 노인친화도시 ‘발등의 불’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7월 말 부산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66만 8806명으로 부산 전체 인구의 19.89%를 차지했다. 초고령사회 진입의 판단 기준인 노인 인구 20% 선이 눈앞에 닥쳤다. 현재로선 청년의 대규모 전입 등 부산 인구가 갑자기 늘어날 가능성이 전무한 상태이니 다음 달이면 부산은 확실히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다. 다른 도시보다 빠르게 늙어 가는 도시인지라 부산의 초고령사회 진입은 예견된 일이긴 하나, 그래도 서울이나 대구 등 국내 대도시 중에서 처음이라고 하니 더욱 씁쓸하기만 하다. 무엇보다 부산의 경우 제대로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맞는 초고령사회인지라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다음 달 노인 인구 20% 초과 전망
시, 관련 정책 당면 과제로 삼아야

부산의 초고령사회 진입은 당초엔 2023년, 빨라도 내년 상반기에나 실현될 것으로 전망됐는데 그 속도가 현저히 빨라진 셈이다. 사실 부산의 고령화 속도는 오래전부터 우려됐던 바다. 2003년 노인 인구가 7%를 넘는 고령화사회에 들어선 부산이 노인 인구가 15% 이상인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은 12년 뒤인 2015년이었다. 당시 고령사회 진입도 전국 7대 도시 중 가장 빨랐다. 그런 부산이 다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기까지는 6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노인 인구는 줄지 않는 데 비해 유출되는 청년 인구는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난 때문이었다. 이런 속도 탓에 부산의 노인 인구 30% 초과도 벌써 가시권에 들어왔다는 분석이다.

초고령사회의 대안으로 제시된 개념이 고령친화도시다. 노인이 건강하고 안정적인 상태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도시를 말한다. 그렇게 되려면 노인이 생활에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교통이나 고용 등 각종 생활 인프라가 갖춰져야 하고, 노인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지 않는 문화도 조성돼야 한다. 하지만 부산으로선 초고령사회는 이전에 전혀 가 보지 않은 길인지라 초고령사회가 되면 무엇이 달라지는지, 그에 따라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불분명한 상태다. 부산시가 선진 사례를 참고하겠다며 2016년 ‘세계보건기구(WHO) 고령친화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했다고는 하지만, 아직 괄목할 만한 성과는 내지 못하고 있다.

초고령사회가 눈앞에 닥친 지금 고령친화도시 조성은 ‘발등의 불’이 됐다. 과거의 인구 구조에 맞춘 도시 정책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따라서 부산시로서는 고령친화도시 정책을 최우선의 당면 과제로 삼아야 한다. 도시계획 단계에서부터 고령친화도시 청사진을 조속히 제시해야 한다. 전문적인 연구·기반도 조성해야 하고, 예산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는 올 6월 구성한 고령친화도시 전담팀을 중심으로 과제 발굴 보고회, 전문가 온라인 토론회 등을 통해 다양한 정책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한다. 다행이라 하겠다. 부디 구호성 정책 제안에 그치지 말고 실질적인 결과물을 내놓길 바란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